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 설자은 시리즈 1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망해버린 나라 백제와 새롭게 시작하는 신라 시대가 배경이 되는 시대극 추리소설이다. 여러 편의 이야기들은 흥미롭게 사건들을 추리하는 설자은과 옆에서 도움을 많이 주는 인곤이라는 인물의 조합이 멋지다. 반란을 계획하는 무리에게는 가차없이 엄벌을 내리는 신라 왕의 단호함도 이야기를 통해서 전해진다. 출세를 꿈꾸는 설자은 오빠의 계획과 설자은 여동생의 미래를 위해 조언을 하는 모습과 여동생의 심지있는 결단도 전해지는 소설이다. 신라시대 남성과 여성이 치장을 좋아했던 문화가 소설에서도 등장한다. 미려한 모습을 선호한 신라인들의 풍습까지도 놓치지 않고 살펴보게 한다.



당나라로 유학생활을 하는 설자은이 전쟁으로 힘들게 유학생활을 하였음을 알게 된다. 신라로 돌아갈 수 있어서 기뻐하면서 배를 타게 되는데 그곳에서 만나는 인곤이라는 백제 사람과 함께 사건들을 하나씩 해결하게 된다. 미려하지만 차가운 얼굴을 가진 설자은에게 먼저 식객으로 제안을 하면서 다가서는 인곤의 활약도 재미를 더한다. 신라로 돌아가는 배에서 일어나는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설자은과 인곤의 활약과 마지막에 드러나는 진실도 꽤 흥미롭게 전개된다.

제 배로 나은 자식에게도

잔혹한 인간들이 많지만 49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데

모든 일에서 소외되는 것 75

죽는 것보다 못한 혼인 218

하라는 대로 잘 따르던

예전의 너는 어디로 사라진 것이냐? 234



죽은 오빠를 대신해서 유학생활을 한 설자은은 남자로 위장해서 살아가야 하는 운명이다. 여성임을 알고도 비밀을 보호해 주는 인곤의 모습과 설자은의 오른팔과 왼팔이 되는 이 남자의 활약과 서로 화합하는 모습이 꽤 재미있다. 어떤 사건도 범인을 맞추지 못했을 만큼 추리하는 모습에 빠져들게 된다. 단서를 찾고 추리하는 이 두 사람의 맹활약을 4편의 사건을 통해서 전해진다. 사흘 먹지 않아도 허기를 느끼지 않게 된 다음날이라고 전하는 문장과 제 배로 나은 자식에게도 잔혹한 인간들이 많다면서 추리하는 모습에 작가의 폭을 더욱 넓게 바라보게 된다. 술술 넘어가는 이야기 전개와 인물들의 촘촘한 등장에 범인을 찾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여성이 살아가는데 제외되고 선택받지 못하는 것들이 많았던 시대이다. 모든 일에서 소외되는 여성의 삶이 자주 언급된다. 설자은 여동생인 도은의 삶을 통해서도 언급되며 길쌈을 준비하는 여성들의 많은 사연들에는 여성이 부당하게 혼인을 하고 결혼생활을 하고 있음을 엿보게 된다. 결혼생활이 죽는 것보다도 못하다고 생각하는 여성들의 삶을 펼쳐놓는 이야기를 놓치지 않게 한다. 하라는 대로 하는 여동생이 순종하지 않자 오빠가 여동생에게 불만을 토로하는 모습도 예의주시하게 된다. 순종하고 복종하는 가르침이 잘못된 것임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여성에게는 기회조차 없는 시대에 설자은이 남자의 모습으로 활약하는 수많은 추리 사건들은 의미심장한 주인공으로 자리잡는다.

놓친 게 무엇이지?

어디까지 거슬러올라가야 하지?

확인하지 않은 겉가지가 있나?...

눈 안에 형형한 빛이 보였다. 211

잃은 것을 잃은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것은......

괴롭지요.

무엇을 잃었는지 아는 쪽이 낫습니다. 172

한 생이 끝난 듯한 감회가 일었다. 11



탐욕과 비리, 부정행위로 사건의 중심에 자리잡는 매잡이의 탐욕스러운 모습도 기억하게 한다. 왕의 무덤처럼 무심해 보이는 모습도 예의주시하게 된다. 무심한 모습이 어떤 의미들을 상징하는지 우리는 알기에 왕의 모습은 더욱 섬뜩해진다. 관찰력이 뛰어나고 지력이 있는 설자은의 다음 이야기도 기대리게 된다. 시리즈로 출간되는 소설이라 계속 만날 수 있는 시리즈이다.

추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놓친 것, 확인하지 않은 겉가지가 있었는지도 다시금 의심하는 모습, 형형한 눈빛으로 추리하는 모습을 무수히 상상하면서 읽게 하는 이야기이다. 인생에서 우리가 무엇을 잃었는지 알면서 살아가는 것이 왜 중요한 것인지도 언급된다. 자신이 무엇을 잃고 살아가는지도 모르면서 살아가는 인생은 괴로운 것이라고 말하는 대화 내용도 기억에 남는 장면이 된다. 재미있는 소설 속에서 예리한 시선을 끄집어내는 대화들에 지긋하게 여러 번 삶을 돌아보게 하는 글귀들에 감동도 받았던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