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사람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진영 작가의 작품은 두 번째이다. 『구의 증명』도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었는데 신작 장편소설인 이 소설도 다르지가 않다. 프롤로그부터 소설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흐트러짐 없이 재미를 선사한다. 다루는 소재는 결코 가볍지가 않다.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또 생각하게 한다. 세 명의 여자가 기묘한 같은 경험들을 하면서 살아간다. 일어났으나 일어날 수 없는 일, 증명할 수 없으나 존재하는 일이 이 여자들에게서 일어난다. 증명되고 존재하는 증거로 이해되고 설명되는 우리의 세상에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존재하는 무수한 일들이 많음을 소설에서도 다양하게 열거된다. 서로 다른 이름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경험하는 우리들은 이 소설에서도 확인하게 한다.


목화의 외할머니인 임천자가 경험한 단 한 사람만을 살리는 기묘한 일을 스스로 혼자서 이해하며 삶을 마지막까지 정리한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다. 수많은 죽음이 임천자 자신을 생애 전체에서 스쳐 지나친 것은 우연, 행운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죽음 앞에서 살아난 단 한 사람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렇기에 그녀는 말없이 어떠한 설명도 없이 묵묵히 자신의 삶을 수행하며 딸인 장미수에게도 어떠한 말을 해주지 않는다. 딸은 어머니를 향한 감정이 분노에 가깝다. 두 모녀가 같은 경험을 하지만 딸인 미수는 자신이 살리는 단 한 사람을 다르게 받아들인다. 세상과 사람들을 경멸하면서 더 이상 소설을 읽지 않고 두통에 시달리는 나날들로 점철된다. 웃음이 사라진 미수의 생애도 충분히 짐작이 가기 시작한다.


미수의 딸인 목화에게 일어난 기이한 일을 목화는 또 다르게 받아들인다. 순응한 외할머니가 있었고, 세상을 경멸하는 어머니가 있었다면 목화는 질문하며 확인하고 싶어한다. 세 명의 여자들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같은 기묘한 일들을 통해서 단 한 사람만을 살린다. 소환되는 순간 수많은 죽음들을 보게 되는 세 명의 여자들은 얼마나 오랜 시간 긴 잔상들을 보면서 살아야 할지도 짐작하게 한다. 특이한 경험으로 소진되는 체력을 보충하기 위해 목화는 자신의 나름의 방식으로 휴식과 일을 병행하게 된다. 쌍둥이 목수가 목화의 중개라는 기이한 일이 끝나면 기억나는 일들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믿어준 목수의 모습과 함께 하는 모습들을 통해서 든든한 동행자가 되는 쌍둥이를 보게 된다.


목소리의 정체. ...

어떤 틈과 같은 것. 꿈과 현실의 균열.

어긋나는 지점. 미세하게 맞닿은 선.

증명할 수 없으나 존재하는 세계.

가능성으로 남아 인식 너머에 존재하는 사건...

꿈이 아니었다. 63


투신하는 수많은 죽음들을 보면서 목소리가 들린다. 의심하지 말고 구해. 그 목소리의 정체는 누구일까? 점차 밝혀지는 목소리의 존재를 끊임없이 질문을 거듭하면서 이해하게 된다. 성경을 통해서, 자신이 구한 악인들을 통해서 목화는 무수히 질문하면서 살아가게 된다. 목소리가 선택하는 단 한 사람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도 생각하게 된다.


죽음은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서 있다. 갑자기 어느 날 느닷없이 찾아온다. 이 소설을 읽는 중에도 죽음의 소식은 전해진다. 누구도 예외가 없는 죽음은 모두에게 공평하다. 죽음은 무작위하며 고유하다고 언급한다. 무한한 삶을 영위하는 존재와 족음이 존재하는 우리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지도 고찰하게 한다.


어린 시절 목화와 목수는 함께 산길을 오르다가 쓰러지는 나무에 깔리는 금화 언니를 구하고자 목화 혼자서만 마을로 향하게 된다. 사람들과 다시 찾은 장소에는 그 장소에서 금화 언니를 돌봐야 하는 목수가 나무에 깔려있고 금화는 감쪽같이 사라진다. 금화는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그렇게 기나긴 세월이 흐르면서 목화가 어느 날 금화를 꿈속에서 만나게 된다. 금화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소중히 기억하며 배를 하나 만들어달라는 이야기를 어느 날 실행하게 된다. 가족들이 모두 금화를 보내는 날은 사랑을 더욱 짙게 하는 날이 된다.


외할머니가 죽음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목화에게 말하는 장면과 떠난 뒷모습들은 잊히지 않는다. 오늘이 주어진 의미를 더욱 명료하게 느끼게 하는 소설이다. 악의에 찬 사람들의 열거되는 언행들이 뾰족하게 드러나는 소설이다. 더불어 설명되지 않는 모호한 현상들을 다시금 떠올려보면서 읽은 소설이다. 이해되는데 설명이 어려운 현상을 우리는 경험할 때가 있다. 검은 구멍을 품고 살았던 목수의 삶에도 목화가 경험하는 일과 사라진 금화가 나타나서 건넨 말 덕분에 모두가 편안해지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에 안도하게 된다.



같은 경험을 하지만 받아들이는 자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세 명의 여자들의 삶만 살펴보아도 그러하다.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어떤 자세,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는지 돌아보게 한다. 악의에 찬 언행을 거침없이 쏟아내는 일화의 모습에 부모가 쌍둥이 남매에게 보이는 모습도 기억에 남게 한다. 멈추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도 살펴보게 하는 인물들이다. 목화의 연인이었던 정원도 다르지가 않다. 정원이 목화에게 쏟아내는 말들은 무엇이었는지 우리는 알게 된다. 정원이 정사원이 되면서 계획하는 꿈들은 목화를 동요시키지 못한다. 라일락 나무가 뽑었다가 심어졌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한 사건이 된다. 서로의 삶을 가꾸고 있는 삶인지 죽이고 있는 삶인지도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다.



사람을 죽이는 사람을 볼 때마다, 사람을 물건처럼 대하는 사람을 볼 때마다,...사회적 참사로 죽은 사람들을 비웃고 비아냥거리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229

뒤섞인 존재가, 사이가, 현상이, 모호한 상태가 훨씬 많다.

세상에는 그런 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더 많다고. 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