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리지만 단단하게 자라는 식물처럼 삽니다 - 식물의 속도에서 배운 16가지 삶의 철학
마커스 브릿지워터 지음, 선영화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9월
평점 :
전 세계 약 100만 명이 선택한 인기 정원사의 인생이라는 흙을 뚫고 마침내 꽃을 피우는 방법이 전해지는 책 한 권이다. 『 How to Grow 』 식물의 속도에서 배운 16가지 삶의 철학들이 전해진다. 식물학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책을 좋아한다. 식물 키우는 것을 좋아해서 그들이 느끼는 삶의 파동을 공감하게 된다. 이 책의 저자의 음성도 다르지가 않다. 저자는 마약과 폭력, 범죄가 있는 마을에서 성장하면서 학교 괴롭힘과 피부색 차별을 당하는 경험도 하였다. 머리털이 빠지고 병약한 탓에 비웃음도 당하는 어린 시절을 경험한 인물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는 것을 강조한다. 식물을 돌보는 경험들을 통해서 스스로 인생에 접목시킨 것들이 책에서 전해진다. 식물을 키우면서 실패도 하면서 배우는 과정들은 인생의 실패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인생에 접목하면서 더욱 성장하는 계기가 된다. 그것에 대한 이야기들이 16가지 전해진다. 누구에게 나 공평하게 주어진 시간이다. 평이한 경험들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경험들을 통해서 스스로 깨닫는 이들이 있다. 새롭고 놀라운 발견을 하면서 정체되지 않고 거듭나는 발전으로 이어지는 이들이 있다. 그들의 깊은 철학들이 전해진다. 16가지 철학은 그러한 열매가 된다.
우리는 저마다의 속도로 인생을 통과한다. 모두가 같은 속도로 달릴 수는 없다. 같은 보폭으로 걸을 수도 없다. 느린 발걸음이지만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실행한다면 결국에는 목표점에 도달한다. 실패는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식물을 관찰한다는 것은 끈기와 집중을 요구한다. 매일 식물이 소리 없이 성장하는 것을 매일 관찰한 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모두가 공감하는 내용이 된다. 관찰하며, 준비하고, 인내하면서 끈기를 요구한다. 실험과 에너지, 회복과 환경, 우리라는 공동체에 대한 철학까지도 모두 접목하게 한다. 자신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지 들려주는 책이다. 공동체의 의미, 바꾸지 않고 적절한 장소를 찾아라고도 전한다. 평화로운 마음, 균형 잡힌 몸, 조화로운 영혼은 성장을 지속하고 회복력을 높이는데 핵심 요소라고 강조한다. 특히 영혼에 대해서 여러 번 언급된다. 평온한 마음이 주는 위안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확인하게 한다.
서두를 필요없다는 사실도 들려준다. 목적의식을 지켜내라고도 알려준다. 중요한 일이든 사소한 일이든 마음을 다하라고 전하는 할머니의 이야기도 귀담아듣게 된다. 마음을 다하지 않는 이들이 너무나도 많다. 자본주의에 종속되어 부속품으로 사용되어 버려지는 인력들이 그러하다. 마음이 없는 일에는 진실과 진심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한 일은 고스란히 속내를 드러낸다. 감추지 못하는 것은 추할뿐이다. 작은 일이라도 마음을 다해야 한다. 그것이 곧 자신을 위한 일임을 들려주는 할머니의 가르침도 두 손으로 감싸서 깊게 새겨 넣는 글귀가 된다. 정성이 느껴지는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를 통찰하게 해준다. 특히 삶의 기준과 기대를 혼동하지 말라고 전한다. 기나긴 시간 스스로 깨우친 것들의 철학들이 깊게 전해진다. 성장을 향한 길은 스스로 개척하라고 한다. 자연의 목소리와 직관에 귀를 기울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영감이 떠오르는 순간이 찾아올 거라고 한다. 자연은 경이롭다. 자연을 보살피면서 관찰하고 귀를 기울이다 보면 문득 가슴이 벅차오르는 깨우침이 있다. 그때의 순간들이 이 책의 글귀들을 통해서 다시 상기하게 한다.
취미, 습관, 일과... 삶을 저해한다면 과감히 솎아 버리자 50
통제 불가능한 일은 씨앗은 결국 내가 심은 것 56
예기치 못한 문제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51
인내가 반드시 고통스러운 것만은 아니다 66
이 세상에 무의미한 실험은 없다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