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스트의 밤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22년 3월
평점 :
전염병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시점에 신간으로 출간된 <페스트의 밤>은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의 작품이라 더욱 눈길을 끌었다. 우리들이 경험한 것들과 많이 닮은 모습들이 등장하고 있어서 더욱 다가서서 읽은 작품이기도 하다. 역사소설이라 사실적인 것들이 많이 반영되고 있다는 점과 작가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 중 직계 후손이라는 사실을 마주하면서 추리하면서 읽는 흥미로움까지도 가졌던 작품이었다.
유럽의 병자. 오스만 제국 517
이주민 추방. 적대감 548
신문에는 여왕의 의지이자 바람으로 시작된 '개혁'에 관련하여 한마디 말도 없었다. 699
오스만 제국에 대해서는 이 작품을 통해서 흥미를 가지게 했다. 작가의 다른 작품까지도 만나봐야겠다는 계획도 가져보게 한다. 이 책의 두께감만큼이나 이 작품이 담아낸 많고 많은 이야기들, 인물들, 사건들, 미묘하고도 복잡한 정치적 접근들을 떠올려보지 않을 수가 없다. 더불어 불공평한 결혼제도까지도 작품에서 언급되는 만큼 이 시대의 여성이 가지는 의문과 모순들을 명석하게 분석하고 토론하는 부부의 모습도 기억나게 하는 내용 중의 하나가 된다. 관습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순종하고 복종하는 여성이 아닌 자신이 얼마나 부당함을 받고 살아가는 여성인지 자각하고 변화하고자 노력하는 움직임을 가진 여성인지 함께 생각해 보게 하는 내용들도 만나게 되는 작품이다. 버지니아 울프와 톨스토이에 대한 글도 작품에 등장하는 만큼 마지막까지 끈기를 가지고 읽어보았으면 하는 희망을 가져보는 소설이다.
전염병, 죽음에 대한 공포가 컸지만 인간성을 고수... 여전히 공동체 의식, 형제애, 동포애를 잃지 않은 사람이 많았다. 547
전염병에 대처하는 방역과 의료진들의 노고와 고충들을 이 작품을 통해서도 만나게 된다. 죽음과 가까이에 다가서는 직업을 가지고 자신을 찾는 환자들 곁으로 다가서는 의료진들의 의로움을 한 번 더 생각하게 한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중국, 오스람 제국. 종교와 정치적 관계, 외교, 복잡한 흐름들을 떠올리면서 읽은 작품이다.
이스탄불에 충성한 자들의 죽음.
세상을 바라보는 그녀의 시야가 얼마나 좁고 제한적이었는지 알게 되었다. 710
두려움이라는 감정이 인간을 얼마나 다양한 모습들로 만들어 놓는지 작품을 통해서도 만나게 된다. 방역이 무너지는 이유도 우리들의 모습과 너무나도 다르지 않다. 개인의 욕심, 종교적 믿음이 전염병을 더욱 확산시키는 모습들이 고스란히 반영이 된다. 읽다가 떠오르는 사건들이 많았고 확진자 수가 증가한 이유들을 이 작품을 통해서도 충분히 이해하게 되었다. 결국 이 섬에 확진자가 사라지는 순간이 찾아온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다. 다양한 군상들이 보여주는 모습들이 꽤 인상적인 소설이었다. 끝나지 않은 지금의 전염병도 함께 떠올려보면서 읽었던 작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