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양귀자 지음 / 쓰다 / 2019년 4월
평점 :
소설 '모순'작품이 너무 좋아서 작가의 작품을 연이어 읽게 된다. 책 읽는 많은 분들의 선택으로 지금도 여전히 사랑받는 책이라 자주 보여서 고른 책이기도 하다. 기대한 만큼 작가의 작품은 부응해 준다. 작품이 집필되고 출간된 시대를 짐작해 보면서 지금 삼십여 년이 지난 한국 사회는 얼마나 변화되었는지도 떠올리면서 읽은 작품이기도 하다.
지배를 하는 자와 지배를 받는 자부터 떠올리게 한다. 가정이라는 작은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조화로움을 기대해 보게 된다. 하지만 사회 뉴스를 보면 만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부부라는 인연이 된 사연들도 심심찮게 보게 되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는 가학하는 자가 때로는 남성, 때로는 여성인 가정이 등장한다. 두 가정에서 성장하면서 지켜본 각각의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 떠올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습은 모두가 가학적인 남성이며, 여성이 된다. 한 아이는 폭력적인 아버지를 어떻게 떠올렸을까? 또 다른 아이는 자신들을 모두 버리고 도망간 어머니를 어떻게 떠올렸을까? 가정을 꾸리는 부부가 얼마나 성숙한 어른이 되어야 하는 것인지 지속적으로 질문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한번 부자면 영원히 부자다. 73쪽
어머니를 미워하지 않고 그리워하는 존재로 성장한 어른, 백승하. 자신을 향한 폭력에 순간 자신의 어린 시절의 여러 장면들과 인물들을 떠올린 사람의 이야기와 '노랑이'라고 떠올리는 여인이 그곳을 떠날 때 이웃사람들의 냉소적인 반응도 쉽게 지워지지 않는 장면이기도 하다. '노랑이'의 비명과 매질은 아픈 이 사회의 역사이기에 작품이 매만지는 인물들과 이야기들은 무엇 하나도 가볍지가 않다.
20대 여성이 스스로를 신의 대리인이라고 말하면서 억압과 회유를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가학이 가지는 가속력까지도 작품에서 만나게 한다. 단단한 가시가 되어 아프게 무장한 인물의 성장 배경은 그녀의 모나고 거친 지성이 되게 한다. 나이와 어울리지 않게 삶을 아름답게 바라보지 않고 있는 이 여성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 책임은 누구에게 물어보아야 할까? 단단한 가슴에도 설레는 마음으로 온기가 따스하게 불어올 수 있을까?
굳은살이 배기지 않은 삶... 그런 삶은 가짜다. 역사가 없는 것이다. 144쪽
나는 지금 맹렬하다. 47쪽
읽는 동안 내내 마음이 불편하였다. 대립하고 전쟁같이 사는 것이 정답은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의 다른 존재를 인정하면서 서로를 존중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을까? 지금 우리 부부가 누리는 행복과 사랑은 서로가 의식하면서 노력하였음을 이 작품을 읽으면서 더욱 느끼게 한다. 사육하고 길들이고 길들여지는 것이 작품에 흘러넘치는 순간이 많이 불편하게 보일 뿐이다. 부부와 가족은 서호가 지배하는 구조가 아니다. 하지만 가부장적인 구조가 아직도 잔재하는 이 나라에서는 아내에게도, 며느리에게도, 딸에게도 부당한 의무들을 부여하기도 한다. 무거운 삶의 짐들을 함께 들고 가는 가족들이 되어야 모두가 행복한 것이다. 이 소설의 인물들이 떠올리는 어린 시절의 절름발이 어른들이 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나는 낡은 생각, 낡은 언어, 낡은 사랑은 혐오한다. 나의 출발점은 그 낡음을 뒤집은 자리에 있다. -책 중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 사회를 어지럽히는 인사는 있을지언정 사회를 지도하는 인사는 없다. 86쪽
오지도 않을 행복을 기다리며 긴 세월을 살아온 여자들 7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