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관계 착취 - 인생의 주도권을 되찾아 줄 74개의 원칙
훙페이윈 지음, 홍민경 옮김 / 미래지향 / 2020년 10월
평점 :
왜 우리는 독이 되는 인간관계를 끊어내지 못할까?
인생의 주도권을 되찾아 줄 74개의 원칙
타인의 피와 살을 도려내 자신의 빈 곳을 채우려 하는 심리는 어쩌면 자아 결핍이 빚어낸 열등감 때문일 수도 있다. (추천사 중에서)
책 제목부터가 섬뜩하였으며 책 내용을 읽다 보면 저자분이 한국인이 아닌가 싶을 만큼 정서와 그들이 나누는 대화들과 가치관에 놀라워하면서 내내 읽었던 책이다. 대만의 문화권과 한국의 문화들이 너무나도 비슷하게 흐르고 있다는 점에 놀라웠다. 그들의 정서와 우리들의 정서는 어른들의 세상에서는 너무나도 유사한 모습을 띄고 있다는 점에 놀라움을 연거푸 느끼면서 읽은 책이다.
착취라는 어휘에 주목하게 한다. 여자와 여자 사이에 벌어지는 착취에서는 시어머니와 며느리, 올케와 시누이, 딸과 엄마 사이 등에 대한 내용들이 소개된다. 결혼 안에서 벌어지는 인간관계 착취에서는 남편의 외도와 이혼은 별개, 아내를 비웃는 남편, 동서갈등, 학교 선생님의 전화를 받는 사람은 왜 엄마인가 등 여러 문제들이 소개되고 있다.
혈육 사이에 벌어지는 인간관계 착취는 지금 한국 사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직장에서 벌어지는 인간관계 착취와 사랑 안에서 벌어지는 인간관계 착취에 대해서도 책은 다루고 있다.
내용들마다 사실적인 문제 진단이 먼저 등장한다. 그리고 <임상심리사의 처방전>이 책에 소개되고 있다.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많고 많은 인간관계 착취를 다양하게, 사실적으로 만났던 책 한 권이다. 놀라움이 가장 먼저 앞서게 했고 이렇게 다양한 사연들이 가까운 사람들에 의해서 지금도, 앞으로도 계속 일어나는 현상이 될 거라는 것에 암울해지도 한다. 분명한 건 이 책 덕분에 읽고 타인들의 다양한 사연들을 통해서 그들의 심적 상처를 짐작해볼 수 있다는 점이다. 누군가는 이 책을 통해서 반성도 하고, 되돌아보면서 가까운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었던 착취는 아니었는지 회상해보는 시간이 될 거라는 점이다.
쉽게 타인을 착취하였지만 그것이 착취인지 모르는 사람들. 그것이 진단되고 심리적 상황과 정서적 상황이 어떠한 것인지 누군가에게는 돋보기처럼 들여다보는 현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타인을 착취하거나 착취당하는 것은 모두 불완전한 자아 때문이라고 책은 전한다. <완벽한 아이>소설이 떠오른다. 그 소설의 인물들도 이러한 관계였고 그들이 가졌던 불완전한 자아를 떠올려보게 된다. 그리고 소녀가 집을 탈출하는 순간과 탈출하고 난 순간의 모습은 확연히 다른 자아임에는 분명하다. 자아를 찾아가지 못하고 어른이 된 겉모습만 어른인 어른으로 늙어갈 수는 없다. 성장하고 반성하고 용기를 내면서 자아를 찾는 사람이 되는 길을 찾는 과정은 불가피한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어른이 되는 건 아니다. 스스로 용기를 내면서 진단하고 해결하는 것이 성장인 것이다. 그 과정에 만나보면 좋을 책 한 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