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자들
올가 토카르추크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뭇 달랐다. 익숙한 것들이 아니었다. 단편도 등장하고 중편소설도 등장하였고 화자도 저마다 다른 이야기들이었다. 문학이 가지는 고유함을 이탈한 새로운 문학이었다. 점철되어가는 것들은 더 넓어지고 더 깊어지고 있었다. 너무나도 광폭적으로 조명을 비추고 화자의 목소리를 듣고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지금까지 장편소설을 읽어왔던 그대로 속도를 낼 수가 없었다. 짧은 단편글에도 오랜 멈춤이 필요했고 긴 시간의 호흡이 필요했다고 고백하게 된다. 몇 번을 놀라워하면서 작가의 사진과 소개글들을 몇 번씩 다시 읽었는지 모른다. 그렇게 기나긴 시간을 곁에 두고 천천히 <방랑자들>이라는 제목을 연거푸 떠올리면서 읽어간 책이다.

정지하듯이 움직이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여러 이유들로 여행보다는 그대로 머무르는 것을 지향하는 사람들도 있다. 타자에 의해서 경계선을 넘어본다는 것은 분명한 한계점을 내포하게 된다. 적당히 포장되고 적당히 단면적인 지식에 불과해지는 것이 그것이다. 그래서 마음이 원하는 것을 곧추세우면서 행동하는 것을 더 지향하는 편이다. 머뭇거리는 것도 좋아하지 않고 도전하고 직접 경험하며 오롯이 내가 느끼는 그 감정과 경험이 진짜이기에 방랑자들이 가지는 책의 목소리는 너무나도 매력적이었던 책이었다. 여행자, 순례자, 방랑자들이 떠나고 느끼고 기록하고 기억하는 것들을 나의 여행과도 함께 떠올려보는 시간이 된다.

기대한 것 이상으로 너무나도 많은 경험들을 얻었던 책이다. 상당히 경직되고 보편적인 사고방식으로 삶을 살아온 사람에게는 소설의 작가와 화자들이 던지는 한 문장은 단단한 틀을 깨어주기에 충분하였다. 이 작품 중에서 떠오르는 장면들은 무수히 많지만 하나를 떠올린다면 장애인 아들을 보살피며 살고 있었던 한 여인이 지하철역 노숙자로 살아가는 순간을 선택하는 이야기이다. 고단한 삶이라 마음 놓고 기도하며 울고 싶었지만 관광객들에 의해 이곳저곳으로 교회를 이동해야 했을 여인. 집으로 돌아가는 그 길에 노숙자의 길을 선택하는 그 여인의 이야기는 더 깊어질 뿐이다.

책을 읽으면서 공감하는 문장들도 많이 마주한 책이다. 다윈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힘을 이해했지만, 그것도 여전히 잘못된 해석이었다. 자연의 선택도 없고, 투쟁도, 승리도, 적자 생존의 법칙도 없다. 경쟁이라고? 개나 줘 버리라지. 경험이 풍부한 생물학자일수록 생물계의 복잡한 구조와 연결 고리를 더욱 오래, 그리고 더욱 주의 깊게 들여다본다. 그 과정에서 살아 있는 모든 것이 생장하며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서로를 원조하고 돕는다는 직감 또한 강령해진다. 살아 있는 유기체들은 서로 헌신하면서, 자신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허락한다. 만약 경쟁 체계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지엽적인 현상에 불과하며, 균형이 깨졌기에 나타나는 것이다. 432쪽

나무학자가 출간한 책을 예전에 읽었는데 이 내용들을 뒷받침해 주는 내용이기도 하다. 내밀한 깨달음이 되어가는 글들도 자주 대면한 작품이기도 하다. 작가를 만났다는 건 행운이었다. 왜 찬사를 아낌없이 받았는지 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이라면 매우 공감할 듯하다. 기나긴 시간을 여행길에도 함께하면서 긴 호흡을 나누었던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