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 선생이다
황현산 지음 / 난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고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95821&cid=59013&categoryId=59013

트위터 : https://twitter.com/septuor1

 

 

 

 

 

1945.06.17 2018.08.08

 

 

 

 

 

나는 내가 품고 있던 때로는 막연하고 때로는 구체적인 생각들을 더듬어내어, 합당한 언어와 정직한 수사법으로 그것을 가능하다면 아름답게 표현하고 싶었다.

 

 

 

 

얼마 전, 정확하게 말해서는 지난 8월 저자의 사망 소식은 여러 방식으로 애석함을 그리고 안타까움을 접했지만 그때 그 당시에는 고인에 대해 특별히 아는 것 없어 그 충격의 정도는 크지 않았다. 고작 트위터를 통해서 고인을 만났을 뿐이라 그 명성을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알지 못했고 얼마나 중요한 분이었는지 깨닫게 된 것은 나중이었다.

 

밤이 선생이다에 대해서는 저자의 사망 소식 때문에 알게 된 책이었거나 그 직전에 알게 된 책이다. 순서가 어찌되었든 비슷한 시기로 겹쳐질 것이다. 그 전에 이미 알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건 책표지가 인상적이라 기억 어딘가에 머물러졌거나 제목이 눈에 들어와 그럴 것이다.

 

이 책이 뛰어난 산문들로 가득하다는 것은 얼마 전에 알게 되었고 아주 좋은 글들로 채워졌다는 추천도 요즘에야 접해서 뒤늦었지만 너무 늦은 것이 아니길 바라며 읽게 됐다.

 

문학에 관한 글이나 번역 위주로 글을 쓴 저자라 산문에 관해서 어떤 수준일지 알 수 없었지만 책을 펴내며 부터 비범함을 느낄 수 있었고 2000년대 초 신문에 쓴 글들과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쓴 글들도 몇 있지만 저자의 말대로 어조와 문체에 크게 변함이 없고, ...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자는 한국 사회에 대해서 그리고 그것 말고도 세상만사에 관한 여러 영역을 살펴보고 있고 세심하게 예민하게 그리고 조심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있다. 개인 경험과 기억 그리고 자신의 일상을 얘기하며 생각을 풀어낼 때가 많았고 너무 다그치거나 꾸짖는 것이 아닌 나직하게 말하지만 그 말의 무게에 자연스럽게 고개를 숙이게 되고 그 예리함에 긴장을 하게 된다. 너그러움 속에서 준엄함을 느끼게 한다.

 

본인 스스로는 강하게 말하려고 하지 않으려는 것 같지만 말에 깊이가 있고 여러 생각 끝에 내놓고 있다는 생각 들어 어떤 위엄을 느끼게 해준다. 하루 이틀 혹은 몇 년이 아닌 길고 긴 시간 속에서 다듬어낸 시선과 생각을 접하게 해준다.

 

이 시대의 큰 어른이라고 말한다면 저자는 쑥스러워하겠지만 그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글이라 늦었지만 읽을 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글 쓸 순 없지만 읽기는 했으니 그나마 운이 좋았다.

 

한번 읽고 끝내는 것이 아닌 나중에라도 생각을 다듬을 때 이 책을 다시 펼칠 때가 있을 것 같다.

 

많은 것을 본받고 싶고 배우고 싶게 만드는 글이었다. 늦었다. 하지만 이제라도 읽었으니 그게 어디냐 싶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참고 : 저자에 관해 이것저것 확인하다가 저자의 트위터를 팔로잉하고 있었지만 저자 또한 나를 팔로잉하고 있었던 것은 이제야 알게 됐다. 789명 중 나도 있다. 기쁘다. 그리고 한 번 더 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 사랑의 말, 말들의 사랑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기대했기 때문일까?

 

많은 사람들이 후한 평가를 하는 사랑의 말, 말들의 사랑을 읽은 후에 들었던 생각은 생각보다 별로네... 였다. 오히려 후속작이라 말할 수 있는 어루만지다가 더 좋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왜 이런 느낌일까?

 

이상한 말이지만 저자의 다른 글과 책에서는 느껴본 적 없던 뽐냄을 느끼게 되기도 하고 필요 이상으로 글재주를 부리는 것 같았다. 좀 더 정제되었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내용은 필요 이상으로 풀어내고 다른 어떤 것에는 너무 간략하게 처리하고 있다는 생각 들었고 몇몇 내용은 어떤 식으로도 쓰이지 않을 말들 같아 산만하게만 느껴졌다. 들쭉날쭉했고 뭔가 매무새가 반듯하지 않았다.

 

말을 다루는 솜씨는 항상 그렇듯 뛰어나지만 어수선함 감돌았고 이 이상한 기분은 뭘까? 라는 생각을 하며 읽어가다 맨 마지막에 자리 잡은 초판 서문을 읽으니 어째서 그런 것인지 알 것 같았다.

 

프랑스에서, 더 정확하게는 파리에서 생활하던 시절 불면증과 여러 가지로 힘들었던 상황에서 억지로 사랑에 대한 생각을 함으로써, 내 몸을 적시는 미움을 중화시키고 싶었다. 그 강요된-자발적 강요도 강요이므로-생각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그런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른여섯에 여드레 만에 탈고가 가능했던 건 그랬기 때문은 아닐까? 무언가 쏟아내야 했고 그 쏟아냄이 미움과 신경질과는 다른 사랑의 말들이었지만 이상할 정도로 그 말들에서는 사랑만이 아니라 다른 감정이 뒤섞여져 있어 읽으면서도 뭔가 이상하게만 느껴진 것 같다.

 

글을 쓴 곳이 한국이 아닌, 한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더 깊숙하게 사랑에 관한 우리말을 살펴보고 있는 이 책은 저자가 떠올릴 수 있는 사랑에 관한 말들을 잔뜩 다뤄보고 있고 그 말들과 함께 떠올려지는 생각이 어지럽게 얽혀져 있다.

 

말과 말의 이어짐이 종잡을 수 없고 순서 없지만 말과 글을 다루는 솜씨가 워낙 뛰어나 읽는 맛 그 자체로도 감탄하게 된다.

 

기대에 비해서는 아쉬운 점 있지만 그래도 재미나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고 읽다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한담 : 2015.10.07 ~ 2016.09.12(시사IN)

고종석의 편지 : 2015.08.17 ~ 2016.02.15(경향신문)

 

 

 

 

 

이제는 (정확하게 말한다면 두 번째) 절필해 더는 새로운 글을 쓰지 않는 저자의 (아마도) 가장 최근 글을 모은 쓰고 읽다는 읽고 쓰다 라고 제목을 지었어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순간 들지만 그게 무슨 상관있나? 라는 생각도 하게 돼 적당한 제목이라고 본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고 한 부분은 독서한담이라는 제목으로 시사주간지에 써낸 글 다른 부분은 편지라고 이름 붙여 일간신문에 쓴 글이라 조금은 다른 형식과 내용으로 되어 있다.

 

비슷한 시기(2015~ 2016)에 발표된 글이지만 하나는 저자의 이런 저런 생각을 말하거나 책에 대한 소개나 감상에 관한 글이고 다른 하나는 그 당시에 다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들을 편지의 형식으로 풀어내고 있어 특별히 겹쳐지는 내용은 없다.

 

독서한담의 경우 저자가 꾸준히 얘기하던 내용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기도 하고 들어보지 못했고 제목만 알고 있었던 책들을 소개 받을 수 있어 제목 그대로 독서와 책에 관한 글이라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을 꼽자면 글쓰기 방식에서 구어체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 신선하기도 하고 색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의 말대로 불편했던 독자도 있을 것이고 구어체로 느끼기 보다는 그냥 반말로 생각될 수도 있어 여러 가지로 이색적인 글이었다. 시사주간지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글이랄까?

 

독서한담은 특정하지 않은 누군가를 향해 말하고 있다면 편지의 경우는 내용이 꼭 그 사람에게 향하진 않지만 누구누구에게 라는 이름이 달려 있어 읽기 전부터 어째서 그 사람에게 편지를 쓰게 되었는지 알 수 있을 글들로 되어 있다.

 

대부분 정치 사회와 관련된 인물들이고 다른 몇몇 인물들은 저자 개인의 관심에 따라 선택되었으리라 생각한다. 그 당시 한국 사회에서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사람들 혹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다루고 있어 독서한담에 비해서는 다른 의미에서 읽기 편하지 않게 될 때도 있다.

 

뛰어난 문장가이고 예리한 시선으로 한국 사회를 바라본 저자는 공백을 느낄 수 없이 여전히 무뎌지지 않은 날카로움을 보여준다.

 

선택을 존중해야겠지만 이런 글을 쓴 저자이기에 절필은 여전히 아쉽게만 느낀다. 자신의 글에 대해서 지나치게 비관적이고 너무 낮잡아보는 것 아닐까? 아마도 다시 글을 쓸 것 같진 않지만 그 예민함으로 우리들이 쉽게 놓치고 관심 기울이지 않는 것들을 알려줄 수 있으면 좋겠다.

 

아지 읽지 못한 저자의 다른 책들을 읽어가며 기다려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어가 있다 2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 팀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어가 있다’ 2권은 1권과 마찬가지로 일상 속에서 잘못 쓰거나 헷갈려하는 말들에 대해서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러면서도 쉽게 틀릴 수 있는 말과 비슷하거나 같은 뜻이지만 그 쓰임에 따라서 알맞게 써야 할 말과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어떤 게 맞는지 아리송해지는 띄어쓰기도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올바른 표현과 말을 설명해주고 그게 어째서 그런 것인지 쉽게 이해되지만 읽을 때는 알면서도 실제로 말하고 쓸 때는 그렇지 않게 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

 

흔히 말하는 입버릇이 되어서 그런 것일까?

 

1권이 올바른 말이 무엇이고 바른 표현과 문법에 대해 한정했다면 2권은 좀 더 폭넓게 띄어쓰기 등 우리말의 지평을 넓히려는 의도가 더해서 좀 더 내용이 풍부해졌다.

 

읽을 때는 잘 알게 되면서도 책을 덮으면 곧장 잊게 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지만 그래도 읽게 되니 이런 부분에서는 조심해야하고 앞으로 틀리지 않게 말하고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보도록 하는 기회가 됐다.

 

조금이라도 더 바르게 쓰고 말의 풍부함을 갖고 싶다.

 

모르고 있고

착각하고 있고

잘못 쓰고 있고

헷갈려하고 있는

 

여러 우리말을 알아간다. 그 알아감이 너무 부족하고 느리기만 하지만 그만두고 싶진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어가 있다 1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 팀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

 

이정근

한규희

배상복

최성우

김승욱

김형식

김준광

권인섭

조성우

이은희

김현정

 

 

 

 

 

좋은 글을 찾고 재미난 이야기를 찾기만 하다가 관심이 달라져 다양한 영역을 기웃거리게 됐다. 그러다가 이제는 또 달라져 좋은 책을 찾기만 하는 것이 아닌 올바르게 글을 쓰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겨났다.

 

글을 더 윤기 나고 맵시 있게 쓰는 것이 궁금해졌다.

 

이런 저런 책들을 읽던 중 글쓰기에 관한 최소한의 기본 지식도 없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조금이라도 바로 쓰고 싶다는 생각에 한국어가 있다 1’과 같은 책들이 눈에 들어왔고 읽으면서 얼마나 잘못 쓰고 있었는지를 알게 됐다.

 

어휘

맞춤법

문장구성

바로쓰기

 

실생활과 관련된 우리말과 글 가운데 잘못 알고 있거나 헷갈리기 쉬운 것을 골라 알기 쉽게 설명1은 쉽게 틀리고 잘못알고 있는 아주 기초가 되는 것부터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비슷한 고민을 했던 사람들이라면 어떤 것부터 알아야 할 것인지 막연하기만 할 것이다. 무작정 이것저것 찾아 읽고는 있지만 읽다보니 딱히 정해진 방식 없다는 생각만 더 들게 되니 이런 책부터 시작하면서 하나씩 알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전체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다 읽으면 뭐라도 좀 나아진 것이 있었으면 싶다.

 

읽어도 괜찮아지는 것 적으니 부끄럽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