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고 읽다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독서한담 : 2015.10.07 ~ 2016.09.12(시사IN)
고종석의 편지 : 2015.08.17 ~ 2016.02.15(경향신문)
이제는 (정확하게 말한다면 두 번째) 절필해 더는 새로운 글을 쓰지 않는 저자의 (아마도) 가장 최근 글을 모은 ‘쓰고 읽다’는 읽고 쓰다 라고 제목을 지었어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순간 들지만 그게 무슨 상관있나? 라는 생각도 하게 돼 적당한 제목이라고 본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고 한 부분은 독서한담이라는 제목으로 시사주간지에 써낸 글 다른 부분은 편지라고 이름 붙여 일간신문에 쓴 글이라 조금은 다른 형식과 내용으로 되어 있다.
비슷한 시기(2015년 ~ 2016년)에 발표된 글이지만 하나는 저자의 이런 저런 생각을 말하거나 책에 대한 소개나 감상에 관한 글이고 다른 하나는 그 당시에 다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들을 편지의 형식으로 풀어내고 있어 특별히 겹쳐지는 내용은 없다.
독서한담의 경우 저자가 꾸준히 얘기하던 내용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기도 하고 들어보지 못했고 제목만 알고 있었던 책들을 소개 받을 수 있어 제목 그대로 독서와 책에 관한 글이라 볼 수 있다. 특이한 점을 꼽자면 글쓰기 방식에서 구어체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 신선하기도 하고 색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저자의 말대로 “불편했던 독자”도 있을 것이고 구어체로 느끼기 보다는 그냥 반말로 생각될 수도 있어 여러 가지로 이색적인 글이었다. 시사주간지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글이랄까?
독서한담은 특정하지 않은 누군가를 향해 말하고 있다면 편지의 경우는 내용이 꼭 그 사람에게 향하진 않지만 누구누구에게 라는 이름이 달려 있어 읽기 전부터 어째서 그 사람에게 편지를 쓰게 되었는지 알 수 있을 글들로 되어 있다.
대부분 정치 사회와 관련된 인물들이고 다른 몇몇 인물들은 저자 개인의 관심에 따라 선택되었으리라 생각한다. 그 당시 한국 사회에서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사람들 혹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많이 다루고 있어 독서한담에 비해서는 다른 의미에서 읽기 편하지 않게 될 때도 있다.
뛰어난 문장가이고 예리한 시선으로 한국 사회를 바라본 저자는 공백을 느낄 수 없이 여전히 무뎌지지 않은 날카로움을 보여준다.
선택을 존중해야겠지만 이런 글을 쓴 저자이기에 절필은 여전히 아쉽게만 느낀다. 자신의 글에 대해서 지나치게 비관적이고 너무 낮잡아보는 것 아닐까? 아마도 다시 글을 쓸 것 같진 않지만 그 예민함으로 우리들이 쉽게 놓치고 관심 기울이지 않는 것들을 알려줄 수 있으면 좋겠다.
아지 읽지 못한 저자의 다른 책들을 읽어가며 기다려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