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의 숲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0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민음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틀즈의 <Norwegian wood>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노르웨이의 숲>은 1987년 <상실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우리에게 소개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아마 무라카미 하루키 신드룸의 첫 신호탄이이 아니었을까 싶은데 그때부터 시작된 하루키의 유명세를 꾹 참고 기다리다 1999년에야 읽었던 기억난다. 뭐 구체적인 내용이 기억나는 것은 아니고 그 어렴풋한 느낌, 마치 안개 속을 걷고 있는듯한 모호함만이 '상실'이라는 단어와 함께 남아 있었다. 이렇게 좀처럼 갈피를 잡을 수 없었던 혼란스러움은 언젠가는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고 마음먹게 만들었다. 하지만 1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노르웨이의 안개는 여전히 짙게 깔려 한치 앞을 가늠키 어려웠다. 다만 비틀즈의 노래 속에 남겨진 여운이 책의 이미지와 많이 오버랩 되면서 그 혼란의 정체에 조금 접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소설의 전체 구성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나(와타나베)에게는 기즈키라는 오랜 친구가 있는데 그는 나오코와 연인 사이로 우리 셋은 늘 함께 만났다. 그러나 가즈키가 갑자기 자살하자 나오코는 큰 충격을 받게 되고 그녀와의 연락도 자연스레 끊겼다. 얼마 후 나는 시내에서 우연히 나오코와 마주친 후 그녀에게 가끔 만나게 되었고 점점 그녀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정신적인 충격이 켰던 나오코는 요양원으로 떠나게 되고 함께 수업을 듣던 미도리를 알게 된다.  

  와타나베가 알고 있거나 만나는, 혹은 사랑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하나 둘씩 들려주면서 이야기는 점점 깊어진다. 꼭 집어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심리적 갈등이나 사회에 대한 혼란스러운 인식, 남녀 간의 불확실한 사랑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함을 '성장'이라는 화두를 통해 하나씩 풀어놓는다. 그렇다고 명확한 해답이나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 모든 것들이 뒤엉켜 더 깊은 혼란과 갈등 속에 빠져들게 만든다. 나오코가 기즈키를 생각하며 와타나베 한 말 속에는 안개 가득한 <노르웨이 숲>이 그대로 함축된 것 같다. 

  "성장의 고통 같은 것을. 우리는 지불해야 할 때 대가를 치르지 못했기 때문에 그 청구서가 이제 돌아온 거야. 그래서 기즈키는 그런 선택을 했고 지금 나는 이렇게 되었어. 우리는 무인도에서 자란 벌거벗은 어린아이 같은 존재였어. 배가 고프면  바나나를 먹고 외로우면 둘이서 끌어 안은 채 잠들었지. 그런 사태가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는 없잖아. 우리는 점점 커 갈 거고 사회 속으로 나가야만 했어." (p224)

 

  우리의 상황이 어떠하든,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든 우리 개개인은 결국 시간과 함께 성장해간다. 남들보다 돋보이거나 누군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스스로의 세계를 만들어간다. 화려한 외형을 갖고 있든, 심오한 깊이가 있든, 설사 깨어지고 어긋난 모양일지언정 결국 성장해가는 것이다. <노르웨이 숲>은 그 성장통의 한 가운데를 지나가는, 어딘지는 모르지만 하여튼 목표를 향해 날아가고 있을 안개 속을 화살을 보여주는 것 같다.

  사랑하고 슬퍼하며, 만나고 헤어지며, 기억하고 잊혀지며... 와타나베는 이렇게, 그렇게 성장한다.

  "나는 지금보다 더 강해질 거야. 그리고 성숙할 거야. 어른이 되는 거지. 그래야만 하니까. 지금까지 나는 가능하다면 열일곱, 열여덟에 머물고 싶었어. 그러나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난 이제 십 대 소년이 아니야. 난 책임이란 것을 느껴. 봐, 기즈키, 난 이제 너랑 같이 지냈던 그 때의 내가 아냐. 난 이제 스무 살이야. 그리고 나는 살아가기 위해서 대가를 제대로 치러야만 해." (p415)

 

  소설책 곳곳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 인상적이다. 클래식부터 비틀즈의 음악까지 다양한 음악이 등장하는데 특히 와타나베의 갈등을 현실의 문제로 끌어다놓으며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레이코의 기타선율이 잔잔하게 들려온다. 책을 읽으면서 비틀즈의 <Norwegian wood>(노르웨이의 숲)을 몇 번씩이나 찾아 듣게 만들었다. 바람이 흘러가는 듯한 그 기타소리가 무심코 지나쳐왔던 내 젊은날의 시간들처럼 아쉽게 느껴졌다.

 

She showed me her room, Isn't it good? Norwegian wood
그녀는 내게 자신의 방을 내게 보여주었어. 근사하지 않아? 노르웨이산 가구(목재)야

She asked me to stay and she told me to sit anywhere.
그녀는 내게 머물다 가라며 아무데나 우선 앉으라고 그랬어.

So I looked around and I noticed there wasn't a chair.
그래서 난 주변을 둘러보았지만 의자 하나 없다는 걸 알았어.

I sat on a rug. Biding my time, Drinking her wine.
난 그냥 방석 위에 앉았어. 그리고 시간을 보냈지. 그녀가 주는 와인을 마시며 말이야.

We talked until two. And then she said, "It's time for bed."
우리는 2시까지 이야기 했어. 그 때 그녀가 말했지, "잘 시간이야"

She told me she worked in the morning and started to laugh.
그녀는 아침에 일하러 가야 한다고 그랬어. 그리고는 깔깔거리기 시작했어.

I told her I didn't and crawled off to sleep in the bath.
"난 일이 없어" 라고 그녀에게 말하고는 잠을 자려고 욕조로 기어갔지.

And when I awoke, I was alone. This bird has flown.
그리고 깨어났을 때 나는 혼자였어. 그 새는 날아가 버린거야.

So I lit a fire. Isn't it good? Norwegian wood.
그래서 난 불을 붙였어. 근사하지 않아? 노르웨이산 가구(목재)야

 

 

성장의 고통 같은 것을. 우리는 지불해야 할 때 대가를 치르지 못했기 때문에 그 청구서가 이제 돌아온 거야. 그래서 기즈키는 그런 선택을 했고 지금 나는 이렇게 되었어. 우리는 무인도에서 자란 벌거벗은 어린아이 같은 존재였어. 배가 고프면 바나나를 먹고 외로우면 둘이서 끌어 안은 채 잠들었지. 그런 사태가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는 없잖아. 우리는 점점 커 갈 거고 사회 속으로 나가야만 했어.

나는 지금보다 더 강해질 거야. 그리고 성숙할 거야. 어른이 되는 거지. 그래야만 하니까. 지금까지 나는 가능하다면 열일곱, 열여덟에 머물고 싶었어. 그러나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난 이제 십 대 소년이 아니야. 난 책임이란 것을 느껴. 봐, 기즈키, 난 이제 너랑 같이 지냈던 그 때의 내가 아냐. 난 이제 스무 살이야. 그리고 나는 살아가기 위해서 대가를 제대로 치러야만 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