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론과 지인의 극찬을 통해 알게 된 <장미의 이름>, 하지만 그 삼엄한 분위기와 함께 일천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으로 쉬 들지 못했던 책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책장속의 소품으로 놓아두기에는 ‘에코’라는 대작가를 너무 홀대하는 일인지라 이번 연휴를 맞이해서 책을 들었다.
따뜻한 방바닥, 스탠드 불빛아래 이불을 펴고 가장 편한 자세로 엎드린 체 오랜 장기전이 될지도 모르는 장미의 수도원으로 향한다.

수도원에서 벌어진 의문의 살인사건, 윌리엄 수도사를 따라 실낱같은 흔적을 뒤쫓는다. 낙숫물이 떨어지는 수도원의 지하통로를 지나는 것처럼 끝을 알 수 없는 호기심과 두려움으로 한발 한발 나아간다. 마치 셜록홈즈가 되어 사건을 추리하는가 하면 제갈공명이 되어 범인을 추적할 전략을 듣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사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장서관을 탐험할 때는 마치 영화 <큐브>를 연상하게 된다. 큐브(정육면체의 방)의 각 면에 접한 방은 탈출구인 동시에 생명을 위협하는 무시무시한 함정이었던 것처럼, 화학약품과 특수 장치를 이용해 외부인의 접근을 막아온 장서관의 각 방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거대한 비밀공간처럼 다가온다.
결국 수도원과 장서관에 얽힌 비밀이 하나씩 드러나고,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번의 나팔소리처럼 인간의 집착과 교회속의 모순을 하나씩 태워 버린다. 책장의 한 귀퉁이가 시커멓게 타들어갈 것 같은 분위기로 맹렬하게 타오른다.

이야기의 구성도 치밀하지만 무엇보다 그 사건을 풀어가는 윌리엄 수도사의 추리가 돋보인다.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보이지만 이런 결말을 얻기까지의 가설과 추론의 미묘한 심리가 제자(아드소)와의 대화에서 슬쩍 비쳐진다. 그래서 오락영화의 ‘만능주인공’ 같은 진부함에서 벗어나 이야기의 깊이를 더해주는 것 같다.
거기다 윌리엄 수도사의 추리과정에서 보이는 저자, 에코의 박식함에도 혀를 내두를 지경이다. 인문학적인 지식은 물론 철학과 종교(특히 기독교)에 대해 다양한 설명과 논리들이 책을 가득 메우고 있어 책의 날개지에 장식된 “저명한 기호학자이며, 동시에 뛰어난 철학자, 역사학자, 미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볼로냐 대학의 교수”라는 말이 헛것이 아님을 금방 알게 된다.

하지만 초반부(상권)의 지나치게 장황하고 치밀한 종교적 설명 때문에 로마교회와 기독교, 성서와 요한계시록 등의 기본지식이 부족한 나에게는 조금 부담스러웠다. 화려한 액션장면 전의 지루한 상황설명이나 이어폰 밖에서 들려오는 알 수 없는 잡음처럼 건성으로 넘긴 부분도 꽤 많았다. 굵직한 사건의 사이마다 자꾸 책 밖으로 튕겨져 나오는 느낌이랄까...

‘움베르토 에코’는 내게 너무 어려운 존재인가?
책 뒤표지의 “스트레가 상, 메디치 상 수상작”이라는 문구를 보자 이 책의 진정한 깊이를 놓쳐버린 건 아닐까하는 부끄러움도 들지만 우선은 이것으로 만족하자! 언제고 기독교와 성서에 더 많은 관심과 지식이 있을 때 다시 정독해 보리라 생각하며 다음 책을 꺼내든다.

(www.freeism.net)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으로 2006-06-19 0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품에 나오는 중세 기독교의 이단과 정통에 관한 풍부한 역사적 사실은 주석이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어, 꼼꼼히 따라가기만 한다면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많이 어려운 것 같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