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대표작 <내 심장을 쏴라>, <7년의 밤>을 통해 빠른 속도감과 숨 막히는 스토리에 빠져든 나는 그녀의 데뷔작이었던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까지 찾아 읽었다. 그리고 최근 서점가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28>까지 읽었으니 나도 어쩌면 '전작주의자(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모아 의미를 해석해 냄으로써 그 작가와 그의 작품세계를 온전히 자신의 세계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것)'가 되어가는 것이 아닐까...

  한때 이문열, 이외수 님의 책을 찾아 열심히 읽어 내렸던 경우는 있었지만 이렇게 여류작가의 모든 책을 읽어보기는 처음이다. 그렇다고 정유정 님의 글을 특별히 찾아 읽었다고만은 볼 수 없는 것이, 그녀의 책이 모두 베스트셀러에 들면서 나의 노력으로 찾아 읽었다기 보다는 시대의 분위기상 자연스럽게 읽게 되었다는 것이 더 적당한 표현 같다. 서점가의 명당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베스트셀러를 읽지 않으면 왠지 주류에서 밀려나버릴 것 같은 불안감이 내 전작의 숨은 정체인지도 모르겠다.


  미디어 상에 떠있는 화려한 선전 문구처럼 <28>은 스피디한 전개와 긴박하게 돌아가는 사건이 독자를 사로잡는다. 알래스카의 눈보라를 헤치며 질주하는 아이디타로드(Iditarod Trail Sled Dog Race) 경기처럼 오직 눈앞의 길과 상황에만 집중하게 만든다. 자칫 시선을 놓쳤다가는 어디로 추락할지 모르는 상황처럼 소설에 대한
예측이나 상상마저 사치스럽게 만든다.
  <28>은 화양시에 번진 원인불명의 인수공통전염병(동물과 사람을 함께 감염시키는 전염병)에 맞서는 다섯 명의 인물과 한 마리의 개의 28일간의 사투를 다루고 있다. 한때 머셔(썰매꾼)였던 수의사 재형, 화양시 구조대원인 기준과 간호사 수진, 신문기자 윤주와 정신병자 동해, 그리고 이야기의 중심을 이끌고 있는 개 링고는 자신의 입장에서 서술된 이야기를 통해 소설 <28>을 완성해 간다.


  하지만 정유정 님 특유의 스피디한 전개가 점점 식상해졌다.
다양한 사건들이 연이어 터지고 인물들의 동선이 빠르게 겹치면서 조금씩 피곤해지기 시작했다. 심각하게 꼬여버린 엄청난 양의 사건은 막장 드라마의 그것과 소재만 다를 뿐 별반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 비좁은 수족관을 가득 메운 열대어를 보는 것처럼 갑갑했다.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나 인물 사이의 내적 관계보다는 전염병과 개를 중심에 놓고 벌어지는 외적인 사건이 주가 되다보니, 시각적 영상만 가득했지 이를 음미할 수 있는 묘사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보였다. 숨 가쁘게 돌아가는 사건이 독자의 흥미는 이끌어냈을지 몰라도 소설의 현실성과 읽는 깊은 맛은 살리지 못한 것 같다.

  특히 미치광이 살인자, 동해의 모습은 소설의 현장감을 떨어뜨리는 듯 했다. 개에 집착해 살인과 방화까지 마다하지 않는 악착같은 모습이 너무 작위적으로 보였다. 작가가 표현하려 했던 인간애가 '무협호러액션물'에 가려진 느낌이었다.

  늦은 잠을 청한 다음날, 거울 앞에서 마주하게 되는 붉은 눈의 초췌한 내 모습이나 출근길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개들의 의미 없는 몸짓에 괜히 놀라게 된다. 지극히 평온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지만 마음 한구석 어디쯤에는 '인수공통전염병'과도 같이 내 삶을 송두리째 뒤흔들 재앙을 두려워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우리는 더욱 구와 연인, 가족에게 집착하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서로 떨어져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이라는 동족을 외면하지 못하는 존재가 우리의 숙명이지 싶다.

 

( www.freeism.ne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