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철수의 생각 - 우리가 원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지도
안철수 지음, 제정임 엮음 / 김영사 / 2012년 7월
평점 :
그의 책은 한국 사회를 뒤흔들었다. 이번 대선에 출마 여부를 놓고 여기저기서 말들이 많은 상태인데다 그의 생각을 직접 들을 수 있으리라 기대감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책은 예상대로 출판되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되어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고 책에서 이야기한 그의 진의를 놓고 제2의 '안풍'이 시작되었다. 그의 대선 출마가 조심스럽게 기정사실화 되고 얼마 뒤에는 그의 육성으로 이 사실을 천명하게 되었다.
사실 나는 대통령 선거와 같은 이런 정치적 사건에 별 관심은 없었다. 누가 대통령이 되던 자~알 좀 해달라는 막연한 생각만 있었지 입에 거품을 물어가며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등의 관심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 선거는 그의 등장으로 사뭇 분위기가 달랐다. 차기 대통령을 절반쯤 예약해 놓은 것 같았던 여당 후보의 지지율은 기존의 정치인과는 느낌부터가 다른 새 인물의 등장으로 조금씩 흔들리고 있었고 기존 정치에 대한 환멸과 뭔가 달라져야 한다는 기대가 겹치면서 그의 인기도 더욱 올라갔다.
상황이 이러니 나 역시도 그에 대해 좀 알고 싶어졌다. 컴퓨터 바이러스를 만든 장본인에다 성공한 기업가, 서울대학교 교수라는 것 외에는 모르는 부분이 많았기에 이번 기회에 그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어떻게 이 나라에 새바람을 불러일으킬지 확인하고 싶었다.
그러나 <안철수의 생각>에 나타난 글을 이해하기에는 내 역량이 많이 부족했다. 제정임 님의 질문에 대한 그의 생각에는 막힘이 없었고 정치, 경제, 사회 등 전 영역에 걸친 심도 깊은 이야기를 풀어놓았지만 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 사회문제에 대한 식견도 부족한데다 전문적인 용어가 많이 등장하는 정치, 경제에 대해서는 더욱 어려웠다. 그저 이렇게 방대한 분야의 걸친 내용을 공부하고 고민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놀라울 따름이었다.
하지만 그가 내놓은 답변이 너무 원론적인 이야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점에 대해 깊이 있게 파악하고 있었지만 "상호간의 조율을 통해 상생하자"는 식의 이야기는 조금 공허하게 들렸다. 책에 설명된 그의 말을 제대로 이해하고 분석하지 못하는 나의 한계도 있다지만, 우리사회의 문제를 너무 교과서적으로 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들었다. 닳아빠진 정치인도 해결하기 힘든 고질적인 문제를 책상에만 앉아있었던 학자가 과연 잘 해결해 낼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의 말대로야 되면 좋겠지만 세상은 온갖 권모술수가 난무하는 아수라장이 아니던가...
알다시피 정치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은 수많은 정치인과 국민들의 역량이 한데 모여야 제대로 된 국정을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대선은 '안'이나 '박', '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문제인 것이다.
정치적 입지가 약한 그가 어떻게 한국 정치의 한복판으로 뛰어드는지도 유심히 봐야겠다. 어쩌면 그의 성공은 얼마나 역동적인 정치적 역량을 보이느냐에 달려있지 싶다.
( www.freeis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