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년에 50권 읽기
한비야님이 <그건 사랑이었네>를 보면 '1년에 백 권 읽기 운동 본부'라는 제목의 글이 나온다. 일 년에 백 권이라면 일주일에 두 권 이상을 꾸준히 읽어야 된다는 결론인데 외계인 생명체나 가능할 경지처럼 보였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외계인을 못 따라잡으란 법도 없지 않은가. 수업이 없을 때 인터넷을 켜지 말고 책을 읽는다면, 약속 장소로 가는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다면, 하루 두 번씩 치르는 큰 볼일 중에 책을 읽는다면 그리 어려워 보이지는 않았다. 내 최고의 전성기(?)인 군대에서 일주일에 두 세권씩 꾸준히 읽었던 경험을 생각하면 불가능한 계획만도 아닌 것이다.
그러던 차에 학생들에게 나눠줄 겨울방학 안내서에 끼워진 '권장 도서 목록'을 보게 되었다. 학생들에게만 읽어라, 읽어라 했지 정작 나도 읽지 못했던 책이 수두룩했다. 남에게 권하기 이전에 나부터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그래, 이거다. 내년 2010년에는 이걸 기준으로 책을 읽어나가면 되겠네. 조금만 노력한다면 누구처럼 1년에 백 권은 아니더라도 50권 정도는 읽을 수 있겠지."
일단, 우리 학교(금정전자공고) 권장도서목록에서 이미 읽었던 아홉 권을 제외한 나머지 스물네 권을 옮겨 적어 본다.

닥터 노먼 베쑨 - 테드 알렌, 시드니 고든
21세기 과학의 포커스 - 서울대 자연대학 교수 20인
소유냐 삶이냐 - 에리히 프롬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 헬레나 노르베르
수난 이대 - 하근찬
역마 - 김동리
무녀도 - 김동리
비곗덩어리 - 모파상
벌 -토스토엡스키

햄릿 - 셰익스피어
치숙 - 채만식
삼포 가는 길 - 황석영
사하촌/모래톱 이야기 - 김정한
풍금이 있던 자리 - 신경숙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 홍세화
앙드레지도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 릴케
나무들 비탈에 서다 - 황순원
장마 - 윤흥길

날개 - 이상
병신과 머저리 - 이청준
아버지의 땅 - 임철우
성채 - AJ 크로닌
우상의 눈물 - 전상국
숨차다...
하지만 이 목록으로는 아직 많이 부족하지 않던가. 그래서 그동안 읽지 못하고 책장에 쌓아둔 책 스물여섯 권을 나머지로 채워본다.

나의 자서전 - 찰리 채플린
오만과 편견 - 제인 오스틴
희박한 공기 속으로 - 존 크라카우어
곱게 늙은 절집 - 심인보
한강 (1~10) - 조정래
철학콘서트 - 황광우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 김용규
원미동 사람들 - 양귀자
커피프린스 1호점 - 이선미

나의 한국어 바로쓰기 노트 - 남영신
프레디 머큐리 - 그래이 브룩스
신들의 봉우리 (1~2) - 다니구치 지로
한국의 책쟁이들 - 임종업
1984 - 조지 오웰
공무도하가 - 김훈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그는 누구인가? - 필리프 아르바이자 외
읽지 않고 쌓아둔 책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놀라우면서도 부끄럽다.
그나저나 이 엄청난 양의 책을 어떻게 다 먹어 치운다? 나태함에 찌들어버린 내 생활습관을 본다면 만만할 것 같지가 않다. 그래. 조금은 가식적인 방법까지 동원해야겠다. 책 읽기를 막 시작했을 때 군대에서 하던 방식으로 목록을 인쇄해 읽은 책 이름 옆에 굵직한 사인펜으로 동그라미를 그려 넣자. 조금은 유치하게 보이지만 책을 읽는 것에 대한 가식적인 결과물이 눈에 보이니 그만큼 분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시라. 2010년의 12월, 50권의 책 이름 옆에는 과연 몇 개의 동그라미가 채워질 것인지!
- 2009/12/24
겨울방학이 시작되는 종업식 날. 새로운 목표 하나를 새워본다.
이참에 여기에다 목록(1년에 50권 읽기)을 만들어 붙여야겠다.
( www.freeism.net )
이 글은 테마카페에 등록된 테마입니다.
테마는 '먼댓글(트랙백)'이나 '댓글'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테마)를 놓고 여럿이 함께 얘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테마카페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