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930년대 중국, 민생단 사건이 소설의 주배경이라는 말에 조금 어리둥절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내 ‘민생단’을 검색해본다.

“일제가 만주를 강점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932년 2월 간도에서 일군의 친일조선인들은 한때 일본제국주의에 반대했던 일부 민족주의자들까지 포함하여 하나의 정치조직을 결성했다. 민생단이라는 이름의 이 친일조직은 불과 5개월 만에 활동이 중단되었고, 다시 3개월 후에는 완전히 해산되었다. 민생단이라는 이름은 만일 중국공산당이 조선인 당원들이 이 조직과 비밀리에 연결되어 있다는 잘못된 의심을 품지 않았더라면 아마 그 당시 명멸했던 수많은 단체들처럼 우리의 기억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 잘못된 의심은 당 내의 조선인공산주의자들을 중국혁명을 파괴하기 위해 당에 침투한 민생단원으로 보는 오류로 이어져 대대적인 숙청을 낳았다. 1932년 말에 시작된 민생단 숙청은 1935년 초까지 약 2년 반에 걸쳐 집중적으로 진행되다가 1936년 초에 가서야 중단되었다. 현재 중국공산당이 인정하는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만도 근 500여명이고, 어쩌면 2천명에 달하는 우리 독립운동의 정화가 이 비극적인 사건으로 사라져 버린 것이다.“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중에서)

중국공산당, 민생단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마지막까지 읽어 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하지만 조선과 중국, 일본, 그리고 공산단과 민생단 사건을 관통하는 로맨스가 사건을 부드럽게 연결해주기에 약간의 긴장과 설렘으로 빠르게 읽어갔다.


나(김해연)에게 민족이나 조국이니 하는 거창한 이념은 중요하지 않다. 그저 허무하게 사라져버린 사랑을 잊지 못하는 나약한 존재일 뿐이다. 그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아편에 취하거나 자살도 시도했지만 결국, 죽을 용기마저 사라져버린 껍데기만 남아버렸다.
아, 사랑이여! 왜 내게 이런 시련이 닥치는지... 이렇듯 아픈 상처로 남을 사랑이었다면 애초에 시작하지도 않았을 것을. 세상의 모든 아픔들이 내게 올라탄 기분이었다.
그로부터 1년, 화마가 휩쓴 검은 들판에 새싹이 돋아나듯 사랑이 멈춰버린 공허한 마음에도 한줄기 빛이 찾아든다. 하지만 그 희망의 빛줄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거대한 시류에 휘말린 민초들의 힘없는 방황은 급류에 휩싸인 수초처럼 시대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버렸다. 결국 내 자신을, 내 사랑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 소용돌이의 중심이 서 있던 것이 바로 ‘민생단’ 이다. 수백 명의 사람이 억울하게 죽어간, 동지를 의심하게 만들어 서로를 분열케 했던 이 사건은 우리 시대가 남긴 뼈아픈 상처가 아닐까.
국민당과 공산당의 주 활동무대였던 만주에서 조선인은 어쩌면 이방인에 지나지 않았을지 모른다. 일본과 독자적으로 맞서 싸우기에는 힘이 부족했고 중국공산당과 연합하기에는 서로간의 목적이 달랐다. 더욱이 일본의 입장에서 항일연합전선은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으니 말이다.
이런 상황 때문에 중국공산당과 함께했던 김해연 역시 민생단을 가장한 간첩이라는 누명을 쓰고 죽음의 문턱까지 넘나들었다. 민생단이라는 이름은 오해를 넘어 피를 불렀고 피는 다시 오해를 불러 많은 조선인들이 동지의 손에 죽어나갔다. 1930년대를 살아가는 조선인이기에 격어야 했던 ‘시대의 오해’인 것이다.

“간도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시오? 우리는 일제의 첩자이자, 중국공산당의 앞잡이요. 우리는 나기를 그렇게 태어났소. 동무가 한인 소비에트를 한번 꿈꿀 때마다 수많은 조선인들이 억울하게 죽어가오. 동무가 조선인만의 국가를 꿈이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는 모두에게 배척당하오. 동무가 민족해방을 외칠 때마다 수많은 전사들이 처형당하오. 눈을 뜨고도 이게 보이지 않는다면, 지금 동무는 자기만의 이상에 미쳐 있는 거요.”

항일운동과 공산당운동의 의미는 이렇게 퇴색되었지만 그렇다고 쉽게 포기해버릴 싸움은 아니었다. 오해너머 어딘가에 있을 진실을 찾아... 인간은 노래했다. 하지만, 그 노랫소리는 어둠의 시대, 밤의 깊이에서 쉬 헤어 나올 것 같지 않았다.
빛과 어둠의 세계. 김해연은 어느덧 어둠 속을 걷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이렇게 항일투쟁의 중심에서 민생단이 갖는 시대적 상황을 보게 된다.


‘공산당은 나쁘다’는 맹목적 반공교육에 길들여진 터라 항일운동을 벌이는 공산당에 대해 조금은 낯설었던 게 사실이다.
지금은 붕괴되어버린 낡은 이념이 되어버렸지만 그 원론, 사람이 사랑을 지배하지 않고 착취하는 일 없이 함께 일하고 같이 나눠먹는다는 사상의 토대는 누구도 이의를 달 수 없으리라. 하지만 인간은 경쟁과 쟁취에 익숙한, 욕심의 동물인 까닭에 현실 속에선 제대로 실현될 수 없었다. 오히려 개인의 욕망을 억제한 대가로 만성적인 의욕상실과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기 힘들었으리라.
아무튼 1930년대 만주에서의 항일공산당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밤은 노래한다. 암울한 밤의 시대가 들려주는 인간의 노래를...
어둡고 음침한, 한치 앞도 구분하기 힘든 상황에서 가늘게 들려오는 노랫소리. 어디서, 누가 부르는지 알 수 없지만 밤의 적막을 이겨내야 했기에 약간의 위안을 삼아본다.


( www.freeism.ne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