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제국 - 개정판
이인화 지음 / 세계사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소설, 내 편견인지는 모르겠지만 역사적인 지식이 많아야 된다거나 조금은 난해하고 지루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역사를 중심으로 쓴, 특히나 우리의 고대 왕실을 중심으로 쓰인 글은 역사 교과서 말고를 딱히 접해본 적이 없었다. 변변찮은 역사적 지식도 그렇거니와 텍스트에 대한 부족한 이해력으로 역사에 대한 괜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나 않을까하는 생각이 한 몫 했었다.
그러던 중 오래전부터 책장에 꽂혀있던 책 한권이 눈에 뛰었다. 최고의 스릴과 긴장감을 선사했다는 한 사학과 친구의 애찬도 불구하고 쉽게 손이 가지 않던 책으로 정조가 독살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두고 쓰인 <영원한 제국>이다. 출판 당시 엄청난 화제와 판매고를 올린 소설로 영화까지 만들어져 많은 사랑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마침 이 책에 안성기 주연의 그 영화가 동봉되었기에 용기를 냈다. 영화와 책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도 재밌었지만 혹시 책에 이해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영화를 통해 보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책을 펼친다.

규장각 검서관인 장종오의 죽음으로 시작된 하루. 그 하루 동안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정조와 노론의 보이지 않는 갈등과 음모가 한 꺼풀씩 떠오른다.
아버지(사도세자)의 죽음을 가슴에 묻으며 복수의 칼을 갈아온 대왕, 정조.
"전하를 너무 믿지 말게. 내가 우부승지로 있어 봐서 잘 아네. 전하께서는 측근에 있는 사람들 누구에게나 '완전히 믿고 맡긴다'는 확신을 심어주시지. 그러나 전하는 사실 누구도 믿지 않으시네. 절대로 믿지 않지. 전하를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던 저 홍국영의 말로를 생각해 보게. 전하는 언제나 사람을 키우면서 동시에 그 사람을 잘라버릴 약점을 찾고 그 사람을 탄핵할 경쟁자를 같이 키우시네. 전하는 그런 분일세. 사실 그런 분이 아니었다면 전하는 벌써 이 세상 사람이 아닐지도 모르지."

그리고 치밀하고 용의주도한 정조 못지않은 영특함으로 권력의 실세를 도맡아 온 노론벽파의 거두, 심환지.
"상흔처럼 깊이 패인 주름, 회색의 차가운 빛을 띤 눈썹, 쭈글쭈글한 안면의 밑바닥으로 가늘고 작은 눈이 침몰할 것같이 껌벅거렸다. 일흔을 넘긴 나이 탓인지 입술이 주위가 일그러지고 이따금씩 경련을 일으키듯 떨고 있었지만 그 눈빛만은 형형하게 빛나고 있었다. 희로애락, 모든 감정들은 휘발해버리고 집요한 욕망만이 주름투성이의 피부 밑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그런 눈이었다."

왕과 신하, 그 절대적인 질서에 대항해 온 노론벽파와 이에 맞선 정조의 숨바꼭질 같은 심리전이 책에서 손을 땔 수 없게 만든다.
금등지사는 그 갈등의 중심에 있는 책으로 영조가 사도세자의 죽음을 슬퍼하며 구술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영조와 사도세자 사이를 모함했던 노론에 대한 원망도 함께 녹아있어 노론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에 치명타를 입힐 화약고 같은 존재였다. 영조의 손자이자 사도세사의 아들인 정조로서도 개혁의 걸림돌이었던 노론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최고의 무기임에 틀림없었다.
하지만 이렇게 양진영의 애간장을 태우며 찾고 있는 금등지사는 여전히 오리무중이고 그 존재조차도 의문투성이다. 과연 선왕의 금등지사는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누구의 손에 있는지, 과연 금등지사를 통해 노론을 견제하고자 했던 정조의 진짜 속셈은 무엇인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미스터리가 흥미를 더한다.

하지만, 역사는 여전히 어렵다...
소설 표면에 나타난 갈등과 사건의 흐름만으로는 뭔가가 부족한 느낌이다. 금등지사의 비밀이 공개되는 후반부부터는 더욱 그랬다. 책의 영향이라기보다는 왕과 신하, 노론과 남인, 벽파와 시파, 성리학과 주자학, 주기론과 주리론등 조선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철학과 그 배경에 대한 나의 이해부족이 그 원인이리라. 물론 책에서 나름대로 설명을 하고 있다지만 몇 년을 걸친 역사교육으로도 놓쳐버린 내용을 몇 페이지의 텍스트로 이해한다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이겠는가.
이제부터라도 조금씩 나를 훈련시켜 나가야겠다. 우리 역사에 대한 나의 문맹을 치유하기 위해서라도 많은 ‘역사’를 접해야겠다.

( www.freeism.ne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