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의 결과는 대조군의 결과가 의미 없어졌어요. 시작하기 전에 없어진 이유부터 설명할께요.



제가 포트폴리오 운영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는 수익률과 매매종목수 공개와 코스피/코스닥 비중, 종목당 투자금액, 주식보유평잔, 대형주/중형주/소형주 비율등 민감한 사항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 부담이 있기 때문이에요.


이번에 대조군은 3개월 평균보유종목수가 1개가 안되어요. 주식 보유 평잔이 12만원 43만원이에요. 지난주만 해도 500~1000만원대이거든요.


이 말은 대조군이 대조군으로서 의미를 상실한 거에요. 대조군들이 보조계정으로 그냥 한종목 정도 사두고 덮어두는 계정이거나, 새롭게 키움증권으로 와서 주식을 시작한 사람들이여서 아직 3달을 채우지 못했거나 최근 3달중에 한국 주식이나 키움증권을 떠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키움증권의 외국주식용 hts/mts는 영웅문S로 영웅문 4가 아니에요^^.


근데, 제가 보기에는 신규상장주하는 사람들이 많이 섞이것 같아요. 종목비율을 보면 다 신규상장주 한사람은 아니겠지만, 신규상장주가 많이 섞여서 주식보유평잔을 많이 줄인 것 같네요. 다른 증권사 계좌를 사용하면서 신규상장주를 거래하기 위해서 오는 사람들이 이 집단에 자주 들어와요. 신규상장주만 거래하고 떠나기 때문에 수치가 저런 경우가 많아요. 지난달에 키움에서 도우인시스의 신규상장 주관사였잖아요. 그래서 당분간은 대조군의 의미가 없어질거에요. 그래고 지난주 결과에서 대조군은 평소보다 훨씬 많은 어드벤티지를 얻은 값이라는 결과이기도 합니다. 신규상장주로서 도우인시스가 어쨌든 공모가보다 높은 수익을 기록했고, 이 과정의 결과값이 포함되었으니까요.


즉, 당분간 대조군은 의미없어요~! 라는 결과에요. 이 분들이 중빈도 거래자에서 벗어날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주식보유평잔이 정상적이 될때가지는 의미없는 비교라서 이것이 정상화될때 다시 이 통계자료를 공개할께요. 12만으로 1종목 사둔 계좌로 어쩔때는 한종목도 안가진 기간도 있었던 사람이 우수군인데, 이런 자료랑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겠죠^^.



지난주와 같이 혼합주-저변동성주-중빈도 매매형에 속해 있어요^^. 상대PER/PBR만 49% → 57%로 늘어났네요.



매매횟수와 회전율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어요. 지난주에 거래횟수가 많지 않긴 했었는데 3달전에 값이 빠지는데, 그때는 더 없었나봐요^^.




총보유 종목수: 55 (▲2)

물타기법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 34 (▲3)

물타기법 포트폴리오 미포함 보유 종목 LV.1: 17 (▼1)


물타기법 시작전의 매수종목: 1

스팩: 7

머니마켓 ETF: 3 (▼1)

CD금리 ETF: 3

KOFR금리 ETF: 3


물타기법 포트폴리오 미포함 보유 종목 LV.2: 4


단기 매칭형 채권 ETF: 2

단기 회사채: 2


<물타기법 포트폴리오 통계>


60거래일 이상 거래한 종목: 11


501~600 거래일 거래종목: 3 (▲1)

401~500 거래일 거래종목: 0 (▼1)

301~400 거래일 거래종목: 1

201~300 거래일 거래종목: 4
101~200 거래일 거래종목: 2

61~100 거래일 거래종목: 1


장기거래 LV.1 종목: 6

301~400 거래일 거래종목: 1

201~300 거래일 거래종목: 3

201~300 거래일 거래종목 NE: 1

101~200 거래일 거래종목: 1

# NE는 장기거래 종목의 리스크 완화 기준중 일부만 적용


장거거래 Lv.2 종목: 3

501~600 거래일 거래종목: 3 (▲1)

401~500 거래일 거래종목: 0 (▼1)


<전체통계>

수익률 표준편차: 1.1 [1.1 ~ 1.3]

수익률 민감도: 0.3 [0.2 ~ 0.3] (▲0.1)

샤프지수: 0.44 [0.44 ~ 0.83] (▼0.09)

정보비율: -0.56 [-0.77 ~ -0.10] (▲0.21)

# 수익률 표준편차는 리스크를 알려주며 수치는 투자자의 선호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지며 샤프지수는 위험당 수익률과 관련이 있고 정보비율은 지수의 변화와의 비교된 수치에요. 샤프지수와 정보지수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수익률 민감도는 공분산이 맞다면 낮을수록 포트폴리오 분산이 잘된 것인데, 수익률 민감도가 공분산이 맞는지는 모르겠어요^^.


대조군과 비교는 의미가 없어졌어요. 이러면 대조군의 결과없이 저의 결과로 이야기하여야 하겠지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저평가 개선은 없어요. 지금은 버블로 상승하고 있어요.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상황은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고, 앞으로 폭락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두고 거래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주도주가 바뀌고 다양한 저평가 주식이 상승할때까지 조심조심해야 된다고 봐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고 지금 주도자가 계속 달리면서 저평가 주식들의 상승이 없다면 이건 버블이며 닷컴버블급으로 위험할 수 있어요. 지금 대통령이 그렇게 잘하고 있지 않으므로 폭락 가능성은 언제나 있으며, 지금 상황이 지속되면 될수록 더 위험하다고 보고 있어요. 계속 오르는 주식은 없어요.



오늘부터 색을 좀 입혈려고 상승과 하락에 오렌지색과 하늘색을 입혀봤는데...미국장은 하락에 빨간색을 쓰고 한국은 하락에 파랑색을 쓰는 것이 디폴트이지요. 그래서 미국은 폭락이 일어나면 빨간색으로 뒤덮혀서 피와 연결되어서 시장에 피가 낭자할때라는 표현을 템플턴(심지어 종교에 관한 상도 받은 분)이 표현하기도 하여요^^. 한국은 파랗게 물들었다고 하지만요.


그래서 한국인들은 상승할때 빨간색 계통, 하락할때 파란색 계통을 쓰는데, 501일 거래일 이상 거래한 종목에 상승했기 때문에 오렌지색을 입힐려고 하니까, 이건 좋은 것은 아닌데...같은 느낌이네요.


그래도 색을 입혀 보려고요^^. 사람의 감정이라는 것이 다른 경험에 많이 좌우되나봐요. 주식시작하기 전에 가장 좋아하던 색이 하늘색 계통이었는데 이젠 노란색이 되었어요^^.


그리고 예전에는 이렇게 많은 종목을 사면 백화점식 투자라고 하던데 요즘은 산산조각 투자라고 하긴 하더라고요. 듣고 빵터지긴 하였어요^^.


오늘 포스팅 2개를 썼기 때문에 다른 책리뷰는 쉬어가요. 어제 작성한 것 퇴고만 남았지만, 내일 할께요^^.


오늘 kbs뉴스에서 주식사기 관련 내용이 있는데, 이 내용은 내일 작성할께요. 주식사기를 알게 되면 그 지식으로 사기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거에요. 내일 쓰기 위해서 웹주소만 하나 남겨둘께요.


https://www.youtube.com/watch?v=UJzkVuH2Fv0


그림 내 폰트 출처: 고양체

차트 출처: 코스콤/영웅문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