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이게 다 늙기 때문이지, 라고 답했다. 꽤 자주. 왜 인간은 기껏 태어나 불행하게 살 수밖에 없느냐는 물음이 떠오를 때마다 말이다.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썩 유쾌하지 않은 노동에 바치면서, 그렇게 해서 번 돈도 마음껏 쓰지 못하면서, 불확실한 미래에 몸을 던지기를 주저하다 결국 포기하고 남은 미련에 허우적거리면서, 달지만 해로운 것들을 참으면서, 꾸역꾸역. 그러니까 이게 다 늙기 때문이지.
늙어감 없이 젊게만 살다가 떠나는 삶을 상상해 본다. 나는 맨날 놀다가 돈이 떨어지면 ‘하고 싶은 것만 하면서 사는 일도 좀 지겹네.’라고 스스로에게 한마디 던져 주고, 가벼운 마음으로 일을 하고, 다시 돌아와서 놀고, 그렇게 살 거다. 기실 사람이 젊기만 하면 어떻게 살든 괜찮고, 어떻게든 살 수 있는 법이다.
“몸을 등한시하면서도 몸과 더불어” 살던 젊은 시절과는 다르게, 인간은 나이가 들면 “몸을 통해 늙어가면서 몸을 적대시”한다.(79쪽) 젊어서는 관심을 주지 않아도 얌전히 제 기능을 다하여 나와 세상의 순조로운 접촉을 돕던 몸이, 늙어서는 더이상은 못 참겠다며 신경을 거슬리게 하고 쑤시고 아프게 하면서 자기주장을 해대는데, 그걸로도 분이 안 풀리는지 쪼그라들기까지 한다. 이 몸도 내 몸이라고 건사하기 위해 끌고 밖으로 나가서 돈을 벌어 보려 해도 써먹기 힘들고 누가 써주지도 않는 몸.
그러니 젊어서 고생해야 한다. 물론 젊어서 고생한들 늙어서 고생할 일이 없는 건 아니다. 문제는 젊어서 고생하지 않으면 늙어서 더 고생해야만 하는 현실이다. “우리는 모두 죽음 앞에서 평등하다고 하지만, 죽어가는 과정에서조차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177쪽) “열악한 환경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환자는 화장실에 가기 위해 복도에서 불편한 몸을 질질 끌어야만 한다.”(178쪽)
『사는 게 뭐라고』의 저자 사노 요코는 암 선고를 받고 기뻐하며 병원에서 돌아오는 길에 외제차까지 뽑았더랬다. 앞으로 1년 정도면 죽으니 무섭지 않냐는 누군가의 질문에 이렇게 답하기도 하면서. “안 무섭다니까. 오히려 기뻐. 생각해봐. 죽으면 더 이상 돈이 필요 없다고. 돈을 안 벌어도 되는 거야. 돈 걱정이 없어지는 것만으로도 행운인걸. (…) 게다가 암은 정말로 좋은 병이야. 때가 되면 죽으니까. (…) 류머티즘 같은 건 점점 나빠지기만 할 뿐이고 계속 아픈데도 낫질 않잖아.” 맞는 말이다.
늙어감 없이 젊게만 살다가 떠날 수 없다면, 떠나는 날을 미리 알 수 있기만 해도 좋으련만. 들린다. 당신은 10년 뒤에 죽습니다. 내가 말한다. 오, 감사합니다. 걱정 없이 삶을 즐길 수 있겠어요! 장난이고요. 당신은 70년 뒤에 죽어요. 아니… 이건 모르고 사는 거랑 똑같잖아요! 역시 최고의 시나리오는, 삼키면 고통 없이 죽을 수 있는 알약을 소지한 상태로 재밌게 살다가 삶의 저울이 고통 쪽으로 완전히 기울어지는 순간 그 알약을 삼키고 끝내는 것이리라. 그러나 이런 알약은 구할 길이 없을 터, 외국인도 받아준다는 스위스 안락사 단체를 검색해 보기에 이르렀는데, 얘네도 죽을 병 걸린 거 아니면 안 받아준다고 하네.
장 아메리의 『늙어감에 대하여』는 1968년에 발간되었고, 『자유죽음』은 1975년에 발간되었다. 이후 그는 1978년에 수면제 과다복용으로 자살했다(요새 나오는 수면제는 100알을 목구멍에 털어도 안 죽는다). 저자의 삶의 이력을 아는 채로 『늙어감에 대하여』를 읽노라니 내내 든 생각. ‘어휴 인간아… 늙어감에 대해 이렇게까지 골몰하니 자살할 수밖에 없지. 어차피 다 늙고 죽는 거….’
초판 서문에 “내가 다루고자 하는 물음은 나이를 먹어가는 인간이 시간을, 자신의 몸을, 사회를, 문명을, 그리고 궁극적으로 죽음을 어떤 눈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점이다.”(6쪽)라고 적혀 있듯이, 이 책은 늙어가던 장 아메리가 자기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며 느끼고 체험하고 해석한 것들을 가감없이 치열하게 적어내린 결과물이다. 여기에 노년기의 평안이나 지혜, 아름다움에 대한 찬탄 따위는 없다. 있었다면 저자가 자유죽음으로 생을 마감하지도 않았을 터다. 내가 장 아메리라면 스스로의 지성과 필력에 취해서 오래 살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이 책의 존재는 정희진의 저서로부터 알았는데, 정희진은 독후감의 말미에 이렇게 적었다. “이 책은 나이듦을 느끼는 독자들에겐 쉽고 깊다. 나는 젊은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물론 ‘이미 알고 있어요.’라고 말할 젊은이들은 없을 것이다.” 어떤 젊은이는 이 책을 읽고서 늙어감이 이렇게나 씁쓸한 것이로구나, 내 젊음을 소중히 여겨 열심히 살아야지, 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다른 젊은이의 한숨. 에휴 시발 어차피 다 늙고 죽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