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이 글의 카테고리를 '투덜투덜'에 넣을까, '소곤소곤'에 넣을까 고민했다. 이 영화의 정치적 메시지를 '야만적인 동양에 대한 서구의 영웅적 승리'로 볼 것이냐, '제국주의에 반대한 좌파적 게릴라의 후일담'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 극단적으로 평가가 왔다갔다 하기 때문이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전자로 보는 견해가 많은 것 같지만(이를테면 '씨네21' 편집장의 글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3005&article_id=45536), 로쟈님이 소개한 지젝의 전복적 영화읽기 (http://blog.aladin.co.kr/mramor/1475998)도 꽤 재미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듀나는 <300>에 대해서, 역시 정치적으로 차갑기 그지없는 평소 모습에 어긋나지 않는 리뷰를 남겼는데(http://djuna.cine21.com/movies/300.html), 개인적으로 듀나의 맹맹한 당파성에 비판적이긴 하지만, 이 영화에 있어서만큼은 듀나의 냉소적인 견해가 솔깃하다. 듀나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 영화는 그저 '방향없는 선전물'이라는 것. 듀나의 이러한 견해와 비슷하게도, 나는 이 영화를 전쟁 판타지로 파악했는데, 그런 관점을 따르면, 스파르타나 페르시아는 나이트 엘프나 오크처럼 '워크래프트 3'와 같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한 종족일 뿐이며, 단지 영화가 스파르타의 입장에서 게임을 풀어나가고 있을 뿐이라고, 아주 손쉽게 결론지을 수도 있겠다. 우리편은 강하고 멋있으며 정의롭게, 적은 오합지졸에 괴물같고 비열하게 그렸던 것은 단지 게임 진행상의 쾌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오락적 효과일 뿐이라고...

여기까지 논리를 진행시켰더니, 중요한 것을 빼먹었다는 사실이 떠오른다.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은 아무런 정치적 의도를 갖고 있지 않은 오락영화의 그것이라 하더라도, 영화의 매 순간순간마다 느꼈던 비릿한 역겨움은 도대체 무엇인가? 물론 사정없이 사방팔방으로 튀기는 피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이런 단어들이 떠올랐기 때문이 아닐까? '마초이즘', '군국주의', '인종주의', '전체주의'... 이 영화는 거시적으로는 굉장히 모호하고 논쟁적인 정치적 함의를 품고 있지만, 미시적으로 봤을 때는 끔찍스러운 반지성, 반동의 지뢰로 가득하다. 이를테면, 전투에서 승리한 스파르타 전사 몇 명이 반쯤 죽어 있는 페르시아군을 눈 하나 꿈뻑하지도 않고 창으로 푹푹 쑤시며 확인사살하는 와중에, 레오니다스 왕은 페르시아인의 마지막 비명을 들으며 태연히 사과를 먹는 장면... 레오니다스 왕과 함께 최후를 맞이한 어떤 스파르타 전사의 듣기 심히 안쓰러운 대사, '당신과 함께 죽게 되어 영광입니다.'... 흠, 이건 어디선가 많이 들어 본 대사다. 바로 '배달의 기수'풍 대사가 아닌가!

그래서, 이 영화에 대한 글은 '소곤소곤'을 눈앞에 두고 유턴하여 '투덜투덜'로 올 수밖에 없었다.


300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7-08-18 0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주무시고 뭐하세요. :) 이 영화는 원작 만화답게 영화로 재현했다는 재미로 봤습니다. '만화 같은 영화'라는 컨셉으로.

전자인간 2007-08-18 09:36   좋아요 0 | URL
제가 가끔 글을 꽤 오래 쓰거든요. 영화 보고나서 11:45 쯤에 쓰기 시작했는데, 다음날 1:40이 되어서야 끝났군요. 별 내용도 없으면서 말이죠.. -.-;
프랭크 밀러의 원작 만화를 보지 않아서 얼마나 분위기가 비슷한 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조금씩 여기 저기서 보았던 만화의 스냅샷 분위기가 영화 내내 지속되더군요. 그런 점에서 듀나의 견해에 공감하는 것이, 이 영화는 만화를 충실히 영화로 옮긴 것 뿐이며, 내용에 어떤 정치적 함의가 있다면 그것은 원작 만화에 기인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제 견해는, 원작 만화도 거시적으로는 어떤 정치적 편향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고요.
'만화 같은 영화'를 좋아하신다면, 같은 프랭크 밀러 원작의 <씬 시티>를 권해 드립니다. <300>도 비주얼이 훌륭하긴 합니다만, <씬 시티>는 정말 대단하죠. 물론, 보셨다면 패쓰~ 고요... ^^ (그러고 보니 <씬 시티2>가 제작중이군요.)

비로그인 2007-08-18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는 남자들 몸통을 약간씩 그려가며 멋지게 보여줬다는 소문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자기 남자가 옆에 있으면 더욱 비교된다는.
그리고 아주 반가운 단어를 보았습니다,'배달의 기수'

전자인간 2007-08-18 09:47   좋아요 0 | URL
주연인 제라드 버틀러가 인터뷰에서, 영화에서의 멋진 복근이 혹시 빌려온 것이 아니냐는 질문을 받고 '빌렸으면 하고 바랐지만, 아무도 주지 않았다. 그래서 하루 여섯 시간씩 일곱 달을 트레이닝을 했다.'고 했다더군요. 이 정도 트레이닝을 했다고 하니, 영화에서 300명의 몸이 얼마나 아름다왔을까(!)가 짐작이 되실 겁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무쟈게 부러웠는데, 누가 시간과 돈을 주면서 일곱 달을 트레이닝하라고 하면 하루 여섯 시간이 아니라 열 시간이라도 해서 만들고 싶을 정도였지요.
그리고 '배달의 기수'를 안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참 서글픈 일이 아니신가요? 어느덧 중년을 바라보는, 또는 중년의 나이라는 것이니 말이지요. ^^

비로그인 2007-08-18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년은 중년대로 아름답다고 생각하는데요 전...^^
배가 나와도, 머리가 벗겨져도요. 나이듦의 아름다움이라는 건 흉내낼수 없는 뭔가가 있어요. 제가 그래서 미중년들을 좀 좋아라 하지요 :)
씬씨티는 저도 너무 좋게 봐서 2편도 기다리는 중이랍니다

전자인간 2007-08-18 13:02   좋아요 0 | URL
에헴.. 저는 사실 중년 아닙니다. 배도 안 나왔고, 머리도 안 벗겨졌고요. 만 나이로는 삽십대 초반.... ㅎㅎㅎ 아쉽게도 체셔고양이님이 좋아라 하는 미'중년'이 아니네요. ^^
근데, 체셔고양이님도 '배달의 기수' 알 것 같은데요? ㅋㅋㅋ

비로그인 2007-08-18 17:56   좋아요 0 | URL
배달의 기수... 알지요 ㅋㅋㅋ
그럼 대한 늬우스는 혹시 아시나요? :)

아니 뭐 전, 미중년만! 좋아하는 건 아니랍니다(싱긋)

전자인간 2007-08-19 23:01   좋아요 0 | URL
아니, '대한 뉴스'도 아니고 '대한 늬우스'를...!?!
어르신을 몰라 뵌 것이 아닌지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