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은 또 하나의 세계이다.. 그 신념으로 세계의 윤곽을 잡아내는 것이다. 그 속의 세세한 일면들이야 나의 상상력과 공상으로 메꿔가는 것이다. 그 모자란 공백들이 나의 상상력과 맞물려 빚어내는 세계의 '확장'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희열이고 즐거움이다. 하지만, 김훈의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참 고역이다. 신나게 김훈의 문장을 내달리다 보면... 어느새 나는 이미 훑고 지나간 화려한 수사를 다시 더듬어 올라가는 나의 눈을 어쩔 수 없다.

그의 세찬 문장들속에 실려나오는 민초들의 격정은 실로 위험했다. 다시금 분노하게 하고 다시금 격분하게 하지 않는가? 진정 보듬어야 할 것은 버리지 못한 그들의 생명력이나 세월의 견딤이었음에도 그의 서릿발같은 문장들은 나를 흥분속에 가둬두고 있다. 나는 안다. 세상이 어떻게 변해도 나는 그들속의 나일 뿐이다. 우리가 진정 바래야 하는 것은 그속에 변치않는 믿음이다. 영웅이 영웅으로 설때 그속에 잠든 그치지 않는 울음들... 탄식들... 그와 같은 것들이다...

김훈의 문장이 갖는 힘과 유려함이야 이미 정평이 난 것이지만, 특히 이 작품에서는 그의 간결하고도 단호한 문체들이 이순신의 기개와 너무나도 잘 맞아떨어지고 있었다. 그래서 근래들어 흔치않게 대한 1인칭 소설이었지만, 마치 이순신을 직접 만난 것처럼 생생한 시간들이었다. 더불어 그 간결한 문체에 실려 크게 내놓아 보이지 않은 그의 심경들속에서 오히려 그의 심리를 더욱 이해하게 하는 힘이 있었다.

진영을 옮길 때마다 자신들을 데려가 달라며 매달려 울던 가련한 백성들을 바라보며 그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탐관에 할큄당하고, 적의 칼에 베이고, 다시 왜놈들의 인질로 배에 올라 아무런 토로없이 제 동포의 칼에 베이고 화살을 받아야 했던... 조선의 노와 적의 노를 번갈아가며 저어야 했던, 바다위에서건 땅위에서건 기가막힌 죽음만이 허락되었던 그 가련한 민초들을 누가 가엾어 해줄 건가? 이순신의 마음속에 번져갔을 우레, 그 깊은 속저림을 우리는 알리 없다.

'지금 싸움이 한창이다. 너는 내 죽었다는 말을 내지 말라' 김훈이 밝힌 이순신의 최후다. 정말 그랬다. 딱 그랬을 거 같다. 그 어투 그대로. 그에게 전사는 곧 자연사였다. 임금에 베이지 않고, 세월에 무릎꿇지 않고, 적에게 베인 것이다. 그로써 그는 비로서 눈을 감고 죽을 수 있었을 것이다. 왜 우리는 그토록 생에 철저할 수 없는가? 한 위인의 철저한 삶을 앞에 두고, 우리는 잠못자고 고뇌해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