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에로니무스 보스 - 중세 말의 환상과 엽기 시공아트 22
월터 S.기브슨 지음, 김숙 옮김 / 시공아트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히에로니무스 보슈Hieronymus bosch의 그림은 현대의 기준으로 보아도 무척 참신한 느낌을 준다. 그의 현대풍의 그림은 중세 말의 신비주의와 결합되어 환상과 엽기의 세계로 우리를 인도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타나토노트>에서 설명하고 있는 저쪽의 세계를 묘사한 것 같은 <은총받은 자의 상승>과 같은 그림은 그림의 깊이가 얼마나 심원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있다.  그의 그림 속에 나타난 혼돈과 기괴함은 중세 후기의 혼란스러움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중세 후기는 무엇인지 모르게 충만한 가운데 불안함이 뒤섞여 있는 분위기였다. 교회는 더 이상 농민들의 안식처가 되지 못했으며, 도시인들에게도 매력적인 것이 아니었다. 형식화된 종교에서 위안을 찾을 수 없었던 농민들은 이를 대신할 것으로 이단운동에 빠지기도 하였다. 교회는 정통성의 입장에서 농민들의 이단운동을 철저하게 탄압하였지만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다. 바로 이런 시대를 살아간 히에로니무스 보슈의 그림 세계는 두려움, 희망, 혼돈이 함께 존재하는 세계이다. 그가 살아가면서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  히에로니무스 보슈는 1516년에 죽었는데 그 이듬해 마르틴 루터가 면죄부 효력에 관한 95개조를 발표하여 종교개혁에 불을 당긴 것은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

히에로니무스 보슈의 본명은 <히에로니무스 반 악켄 보슈>인데 이 이름으로 그의 삶을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다.  악켄은 그의 출생지인 지금의 아헨에서 따온 것이고 보슈 역시 그가 살다가 사망한 헤르토겐보슈란 도시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그는 중세 말기의 혼란 속에서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고뇌와 희망, 의혹과 신앙이 연결된 전작품을 하나의 증언>으로 후세에 남기겠다는 신념으로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그림 세계는 하나의 주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초기의 작품에서는 인간의 어리석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중기의 죄악과 내세론이 결합되어 환상의 세계를 표현하여 날카로운 윤리관을 보여주는 전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말기에는 인물의 명상적 표현이나 과장을 통해 중기의 환상적인 세계를 탈피하여 좀더 인간적인 성숙함을 보인다.

그의 이러한 세계를 책 한권을 통해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다는 사실은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가지 아쉬움이 있다면 플랑드르 화파의 화려한 색의 세계를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흑백으로 감상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컬러냐 흑백이냐의 차이는 책의 가격으로 직결되는 문제지만 그래도 중세 미술을 감상하는데는 그 화려한 색의 세계를 직접 눈으로 보아야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중세의 삼원색은 빨.노.파가 아니다. 중세는 빨강.검정.흰색.노랑이 주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세상을 표현하는 것은 글이나 말이 아니라 색으로도 가능하다는 사실, 정말 아름답지 않은가! 

**플랑드르 지방은 프랑스 북서부에서 벨기에 서부에 이르는 지방. 벨기에의 동.서프랑드르지방과 네덜란드의 젤란트주, 프랑스의 노르주와 파드칼레주의 일부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 지역은 독립된 정치적 지역으로 근세까지 존재하였으나 나폴레옹 1세에 의해 해체되어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로 분할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