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를 찾아서 - 중세학의 대가 자크 르 고프가 들려주는 중세의 참모습
자크 르 고프.장-모리스 드 몽트르미 지음, 최애리 옮김 / 해나무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유럽 사학계는 20세기 초에 역사를 인물의 역사에서 민중의 삶으로 촛점을 바꾸기 시작하였다. 이는 신학에서 "교회 밖에서 구원은 없다"라는 명제를 폐기한 것과 유사한 발상의 전환이었다. 이후 서구 사학은 인간을 중심으로 거시적인 역사와 미시적인 역사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역사 연구의 발전에 힘입어 중세의 모습 또한 다르게 조명될 수 있었다. 과연 중세는 신만이 존재하는 세계였는가?라는 물음에 서구의 학자들은 '인간도 존재했었다'고 대답할 수 있게 되었다. 유럽의 도시와 성당에 널리 산재해 있는 방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유럽의 중세는 새롭게 기술될 수 있었다. 메노키오의 이야기나 마르땡 게르의 이야기, 몽타이유 마을의 이야기는 이런 방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나올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많은 중세의 인물들이 새롭게 조명되고 재발견되었으며, 재평가 받았다. 이렇게하여 20세기 중반에 이르면 유럽의 중세는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는 세계를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구성하게 되었다. 중세는 말 그대로 고대와 근대의 중간에 해당하는 시기가 아니라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세계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유럽의 중세는 한마디로 설명한다면, "神國Civitas Dei"였다. 지상에 하느님의 나라를 건설하려는 사람들의 세계였다. 이 신적 질서 속에 모든 인간의 삶을 쾌맞추려던 시도는 절반의 성공을 수반한 절반의 실패였다. 신을 지상으로 내려오게 하는데는 실패하였지만, 인간들을 하늘로 인도하는데서는 성공했기 때문이었다. 중세의 전반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이 지배하였다면, 후반부는 성 토마스의 신학이 지배하였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모든 것을 파악하였다. 그는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여러가지 색으로 분산되듯 신을 통해서만이 모든 것이 파악될 수 있다고 믿었다. 반면에 성 토마스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반대의 생각을 하였다. 그는 신의 다양함을 이해하여 하나의 본질적인 모습을 보기를 원하였다. 즉 신의 다양한 빛의 세계가 프리즘을 통해 하나의 빛으로 환원되기를 원했던 것이다.

중세인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서는 신의 절대성을 성 토마스를 통해서는 인간 이성의 다양성을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중세는 근대로 가까이 다가옴에 따라 절대적 신성에서 인간 이성의 다양함으로 접근하였다. 물론 성 아우구스티누스나 성 토마스는 자신들의 신학이 이렇게 변질(?)될 줄 생각하지 못하였다. 이 두 성인은 자신들의 신학이 신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를 고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절대의 진리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금의 역사보다 한단계 더 진보된 역사를 만들어 내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어느 시대가 열등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전 시대의 모순에 깊은 숙고를 하고 실천하였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모순이 확실히 제거되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여전히 진행형이란 사실이다.

그럼에도 중세는 여전히 우리들에게 매력있는 세계이다. 이 세계는 지나치게 이상화되거나 비하할 필요는 없다. 넘치는 것은 부족함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중세를 바라보는 세계는 중용의 눈길이 필요하다. 편협된 종교관과 인간관은 중세를 비하한다. 하지만 너무 관대하게 중세를 바라본다면 그것은 무모한 낙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중세는 미묘하게 우리들에게 호기심과 인내를 강요한다. 그 호기심과 인내의 안내서로서 '중세를 찾는것'은 '중세를 아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