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 나씽 - 북아일랜드의 살인의 추억
패트릭 라든 키프 지음, 지은현 옮김 / 꾸리에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어느날 오후에

 그이가 돌아왔지만

 한쪽 소매자락이 바람에 나부꼈네...'


여기에는 세 부류가 등장한다. 정치인, 군인, 민간인.

군인들은 자신들이 아일랜드의 독립을 위해 싸운다는 절대적인 신념으로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했고 그 폭력을 전쟁과 군인이라는 등식을 통해 정당화하려 하였다. 아일랜드 공화국군, IRA의 역사는 길고 오래 되었다. 하지만 모순적이게도 이들 집단은 영국이나 아일랜드 내부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영국은 이들을 군인이 아니라 테러범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북아일랜드와 영국의 싸움이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영국은 자신의 영토에서 벌어진 소란으로 치부한 반면 IRA는 찟겨진 일부 영토의 본국 귀환이라는 식민지 독립이라는 명분이었다. 이런 명분적인 것은 마이클 콜린스가 영국과 투쟁을 벌일때도 해결되지 못한 것이었다. 

정치인들은 영국과 북아일랜드 전쟁에서 가장 이해 못할 집단이었다. 이들은 폭력을 조장한 일면이 있었다. 북아일랜드의 정치가들은 폭력이 이탈자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보았다. 반면 영국은 이들의 폭력이 자신들이 왜 이곳에 있어야 하는 가를 증명하는 현실이라고 포장하였다. 그러면서 겉으로는 자신들은 폭력을 증오하며 이 땅에서 폭력이 종식되어야 한다고 외쳤다. 이들 정치 모리배들의 이런 이중성은 북아일랜드를 더욱더 복잡하고 잔인한 투쟁의 장으로 몰아갔다. 정치적으로는 영국과 신페인당이 군사적으로는 영국군과 IRA가 이데올로기적으로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가 서로를 증오하고 스스로를 배신하며 불신의 사회를 만들었다. 이렇게 된데는 북아일랜드 사태를 바라보는 정치인들의 이기심이 큰 역할을 하였다. 

가장 불쌍한 집단은 민간인들이었다. 이들은 서로 이웃해 있으면서도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가 서로를 불신하였다. 아니 이들은 종교의 담장을 쌓으면서 스스로 고립되어 갔던 것이다. 이 고립 속에서 민간인들은 정치와 폭력의 가정 큰 희생자가 되었다. 이들의 희생은 어쩌면 불필요한 것이었음에도 양측의 본보기라는 면에서 가혹할 정도로 잔인하게 집행되었다. 이런 공포 속에서 모순적이게도 실종자는 있지만 희생자는 없다는 정치적 답변이 나왔던 것이다. 후일 영국과 신페인당이 평화협정을 체결하였을 때도 IRA라는 존재는 어느 누구도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이런 정치적 타협이 민간인들의 희생을 더욱더 비참하게 만들었고 무기력하게 하였던 것이다. 


'착한 사람은 천국밖에 갈 수 없지만,

 나쁜 사람은 어디든지 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