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동물지 - 서양 중세의 동물 상징
작가미상, 주나미 옮김 / 오롯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세의 박물학자 알드로반디Ulisse Aldrovandi는 '뱀과 용의 역사'를 썼다. 그는 당시 최고의 지식인 가운데 하나였다. 그가 뱀은 그렇다치고 용에 대해 썼다는 것은 현대의 우리로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는 정말로 용에 대해 알고 썼던 것일까?  이 책에서 용을 기술한 내용을 보면 당시에 용이 실재했다고 믿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현대의 우리는 중세의 알드로반디 보다 뱀과 용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일까?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용은 이들이 우리에게 주입했던 데자뷰가 아닌지.

중세의 동물지는 우리의 이러한 생각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중세인들이 생각했던 주변의 동물들이 지금 우리들이 알고 있는 주변의 동물들과 비교했을 때 결코 부족한 것은 아니다. 

중세인들은 동물을 볼 때 생물학적인 모습을 본것이 아니다. 그 형상 이면에 새겨진 상징성을 보았던 것이다. 이것은 현대의 우리들이 생물을 볼 때 보는 시각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 우리는 동물의 구분을 과학적인 체계 속에서 이해한다. 종, 속, 강, 아, 목같은 분류단계뿐 아니라 해부학적인 동물의 특성과 몸의 형태에 나타난 기능을 통해 그 동물의 과학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 동물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는 것이다. 생물을 바라볼 때의 관점은 이중적이다. 해부학적으로 볼 때 기능을 이해는 하지만 그 행동의 본능을 이해하지 못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책은 동물을 소개하면서 중세의 가장 중심적인 해석인 어원론을 가지고 해석한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까치pice는 시인poetice와 연관시켜 해설하는 방식이다. 물론 이런 방식은 현대의 과학적 방식으로 볼 때 터무니없는 것이지만 조용히 관조하며 바라보면 또 다른 동물의 모습을 보게된다. 

동물을 통해 중세인들이 세상을 바라보던 시각과 그들이 가지고 있던 세계관 혹은 상징을 우리도 공유하게 된다. 

우리 주변에 수많은 동물이 있지만 우리가 접하는 동물은 일생을 통해 몇 종류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우리는 아주 많은 동물의 이름과 형태를 알고 있다. 왜?

우리는 인간을 동물과 자주 비유한다. 개, 여우, 늑대, 뱀, 곰 등등. 왜 우리는 이렇게 동물과 밀접하게 얽혀있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