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소록
강희안 지음, 이병훈 옮김 / 을유문화사 / 2000년 2월
평점 :
절판


오래 전에 김소운선생이 한국과 일본의 士農工商이란 신분질서에서 제일 위의 士는 전혀 다른 것이라고 쓴 것을 읽은 적이 있다. 그는 한국의 士는 선비, 즉 文을 기반으로 한 지배층을 의미하지만 , 일본의 士는 武士의 士라는 것이었다. 이 평범한 단어의 차이를 통해서도 한국과 일본은 정서적인 평행선을 달릴 수밖에 없었구나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아쉬웠던 것은 조선의 선비는 어떤 모습이었을까?하는 의문이었다. 과연 조선의 선비들은 책상물림이면서 먹물이었을까? 그렇다면 조선의 선비들은 한마디로 사회적 속물일 수밖에 없다는 숙명론적인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다분히 염세적이며 숙명적인 조선의 선비관은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적 치욕 앞에서 절대적인 힘을 발휘하는 것도 사실이었다. 그렇다면 조선의 선비는 어떤 존재였을까? 공리공론에 함몰된 나약한 존재였을까? 사고방식도 유학에 침잠하여 다른 세계를 볼 수 없었던 인간들이었을까?

조선의 선비란 구름위의 존재로 묘사된 현실의 고정관념은 정말로 확실한 것일까?

이 책은 선비의 책 답게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가득 담고 있다. 꽃을 사람으로 본다면 인재 양성의 모습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꽃을 꽃 그대로 본다면 하나의 고아한 취미로도 볼 수 있다. 이렇게 여러가지 우의적인 모습 해석할 수 있는 이 책은 우리에게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꽃을 바라보는 심미안은 사람을 꾀뚤어 보는 날카로움이라고 할 수도 있다. 품종을 고르는 것은 사람의 자질을 가늠하는 것이고...

이런 養花의 모습은 내재적인 힘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숨은 가치를 가꾸면서 드러내게 하는 것이 바로 양화의 길인 것이다.  여기에는 품종 자체의 우수함 뿐만 아니라 가꾸는 사람의 정성이 더해져야만 한다. 거름을 주고 가지를 치는 이런 모습에서 조선의 위정자들이 어떤 자세로 국가를 경영했는지를 엿볼 수 있다. 이것은 선비의 가장 큰 자질인 靜中動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 이 조선의 선비는 현란함은 없지만 그 고요함 속에 커다란 에너지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양화소록"은 이런 내면의 모습이 드러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