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 하루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날이 없다
김재식 지음, 김혜림 그림 / 쌤앤파커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사랑에 대한 글을 읽을 때면 책을 몇 장 읽지 않아서 그 책의 분위기가 파악되는 책들이 꽤 있다. 에세이에 관련한 책들을 많이 읽다 보니 나름의 능력(?)이 생긴 걸지도 모르겠다. 흔한 소재이기도 하지만 글을 쓰는 사람에 따라 '사랑'에 대한 감상이나 느낌은 꽤 많이, 크게 달라지는 편이다. 김재식 작가의 단 하루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날이 없다.를 읽으며, 지나온 시간들과 함께했던 사랑과 이별에 대한 시간들을 생각해 보게 됐다.
사랑도 그렇다. 시간을 함께 나누면서 상처를 받기도 하고 주기도 하면서 서로에게 익숙해져야 내 사람이 되는 것이다. .
상처 줄까 봐, 나에게서 도망갈까 봐, 할 말도 못하고 눈치만 보는 관계는 오래가지 않는다.
결국 우리가 사랑하는 이유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나도 사랑받고 싶어서라는 걸 기억해야 한다. /p062 내 사람
초등학교 시절엔 인기 있고 좋아했던 아이에겐 고백도 못 하고 곁에서 맴돌지도 못했던 극 소심한 성격이었고, 여중,여고, 여대를 다니며 남학생을 만날 기회는 학원밖에 없었지만 그나마도 우정을 가장한 친구의 모습으로 남기 위해 털털한 캐릭터로 거듭나려고 노력했다. 이십 대가 되어야 마음껏 사랑하리라 마음먹었던 첫사랑은 1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 안에 끝이 나버렸다.
누군가를 만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이 갖춘 사회적 여건보다
그 사람의 본질이 얼마나 맑은지,
나와 잘 어울리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사람은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나와 잘 맞는 사람과
잘 맞지 않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p102 누군가를 만날 때
사람 보는 눈에 한꺼풀 막을 더 씌워 보게 되었던 계기를 만들어준 시기이기도 했다. 이때부턴 어장관리를 하며 나에게 다가오는 사람은 밀어내고 내게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끌고 싶어 하는 조금은 삐딱한 애정관을 갖게 되었던 시기를 보내며 '사랑' 네가 뭘까?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던 시기이기도 했다. 사랑은 짧고 생활은 길다는 생각으로 경제적인 능력(?)도 더불어 보기 시작했던 이십 대 후반의 나는, 인생의 사랑을 만났나 싶었지만, 그도 나를 그렇게 보았던지 쓴 이별의 고배만 마시고 삼십 대를 지나 사십 대가 되었다. 망설이지 말걸, 다가오는 사람들을 좀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시작해볼걸, 하는 생각을 최근에 들어서야 조금 하게 됐다. 그때 그 사람은 잘 살고 있을까?
언제나 시작은 아름답고 설렜다.
하지만 지금까지 잘 지내왔다고 생각했는데
사랑이 그렇게 끝나버린 이유는
또 다른 시작을 위해
연애의 마침표를 찍어야 할 타이밍에
여러 이유를 들어 망설였기 때문일지 모른다. /p168 스물여덟 그리고 서른다섯
모든 사랑은 아름답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가며 지나왔던 사랑을 바탕으로 성장을 했어야 했는데, 지난 시간의 이별 속에 여전히 그 시절의 내 모습만 되풀이하며 허우적거리고 있는 이, 삼삼 대 시절의 나를 보게 된다. 단 하루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날이 없다. 를 읽으며 지나온 내 시간들을 위로받는 것 같았다. 별거 아니었던 내가 어제보다 오늘 조금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지나온 시간들이었고 그들로 인해 조금이나마 성장했던 건 '사랑'과 '이별'의 시간을 지나오며 성장해온 시간들이었다고. 너의 지나온 시간들이 헛되지 않았다고 그러니 용기 내라고, 다시 일어나 사랑하라고...
사랑이 끝난 뒤에 우리가 할 일은
원망과 슬픔에 잠기는 일이 아니다.
그 시간들을 가만히 내려놓고
내가 어떤 사람이었는가를 돌아보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조금 더 성숙해진다. /p235
나를 울게 한 것도 사랑이지만
다시 웃게 하는 것도 사랑이기에
우리는 또다시 사랑을 시작해야 한다. /p255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