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적 청춘 - 경제학의 관점으로 보는 청춘의 선택과 기회
조원경 지음 / 쌤앤파커스 / 2017년 5월
평점 :

몸도 마음도 청춘인 것이 사치가 된 시대에서, 그들은 '경제적 청춘'을 구호로 내세워 자존감을 세우고자 절규하고 있다. 캥거루족을 넘는 각종 신조어가 마치 그들을 '불효할 수밖에 없는 2030'세대로 내몰고 있다. 부모의 노후 자금에 빨대를 꽂아 제 돈처럼 사용한다는 '빨대족'이 대표적이다. 그래서일까, 그들에게는 사랑에도 결혼에도 경제적 판단이 앞선다. 타인의 sns에서 보이는 멋진 경제적 삶이 부러울 수밖에 없고, 그렇지 못한 현실 속 자신의 자존감은 낮아진다. 혼술에 혼밥을 하는 게 아무렇지도 않지만 가끔은 서러워 눈물이 나기도 한다. /p6 프롤로그
열심히 살고 있는 것 같은데, 나아지지 않는 것 같고 매일 같이 쏟아지는 경제 관련 기사들은 어둡기만 하다. 직장생활 10년, 자영업자 4년차에 접어들고 있는데, 체감 경기는 IMF때보다도 더 심각한 듯하다. 쉬는날도 없이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들어오는 돈보다 월세, 인건비, 세금, 재료비 등으로 나가는 돈이 더 많다보니 경제활동을 하고 있어도 빚은 줄어들지 않고 더 늘어만 간다. 이런 와중에 연애? 결혼? 아이? 이런건 꿈도 꿀 수 없다. 이 상황은 비단 나뿐만이 아니라 젊은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종종 듣고 있는 현실.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제 결혼은 더 이상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되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은 "좋은 사람을 만나면 결혼하겠다",고 말한다. '나에게 딱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할 경우 굳이 결혼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그만큼 배우자 선택 기준이 까다로워지면서 결혼 시장에서의 경쟁도 치열해졌다. /p32
생애주기 가설' 이 가설에 따르면 사람들은 현재 소득에 맞춰 소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남은 평생의 소득을 고려해 자금의 소비를 결정한다. 그런데 한국의 현실을 생각하면 과연 사람들이 그렇게 합리적으로 소비 행위를 하는 것 같지는 않다. 모방 소비가 만연하고 빚을 얻어 분수에 넘치는 소비를 하는 경우도 흔하다. 자식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하는 엄마의 마음도 영 합리적인 것 같지는 않다. 생각해보면 인생에서 돈을 버는 시간은 한정돼 있지만 돈을 쓰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시간은 없다. /p84
필수가 아닌 선택인 결혼, 살면서 결혼도 출산도 계산해봐야 하는 상황을 살아가고 있지만 나이도 들어가고 있으니 노후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는게 현실이지만 잘 알아보고 준비한다면 조금은 나아지지 않을까? 눈으로만 읽다가 어느새 밑줄을 그어가며 진지하게 읽다보니 피하는게 능사가 아니라 현실을 바로 보고 준비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나라에서도 어떤 조치가 필요하지만 그것만을 바라고 있기엔 현실은 기다려주지 않는다.
하지만 더 나은 행복과 자존감을 위해서는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하루라도 젊은 시기에 재무 설계의 중요성을 간파해야 한다. 그게 경제적 청춘이 지녀야 할 재무 설계의 덕목이다. /p87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저금리 시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연금에만 의존해서 재무 설계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바람직한 투자의 원칙을 생각해보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경제 교육이라 하겠다. /p103
더 나아질 것 없다 정체되어 있지 말고, 알아가고 노력하면 달라지지 않을까? 어찌보면 어렵기만한 이야기를 경제와 누구나 당면할 수 있는 상황을 들어 이야기 해주고 있어 이해가 쉽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읽고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했던 <경제적 청춘>이었다. 일단 마음의 여유가 좀 필요했던 요즘, 좋은 책들을 읽고 생각나는 이들에게 선물하고 이야기 하는 것도 개인적으론 많은 위로가 되는 요즘이다.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