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거 게임 헝거 게임 시리즈 1
수잔 콜린스 지음, 이원열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해 지인들도 꽤 많이들 읽었던 <헝거게임>, 이 책이 <배틀로얄>이란 어설프게나마 알고있던 조금은 잔인하게 묘사되는 영화랑 비교 되기에 잔인, 잔혹? 한 묘사들이 많을거라는 지레짐작에 검색조차 하지 않았던 책이었어요.  그런데 먼저 읽은 분들에게 여쭤보니 잔인한 묘사보다는 잘 짜여진 스토리가 책장 넘어가는 재미가 있다고 귀뜸해주시는... 그리고 묘사도 생각보다 그리 과하지 않다는 이야기에 읽어보자고 들었던 책이었습니다. 

 

 

하나. 모든 과정은 24시간 리얼리티 TV로 생중계된다.
둘. 시청자들은 마음에 드는 소년이나 소녀에게 돈을 걸 수 있다.
셋. 한 명만 살아남을 때까지 경기는 계속된다.

스물네 명 중 단 한 명만 살아남는다!
확률의 신이 언제나 당신 편이기를…….

 

 


12구역에서 살아가는 캣니스는 광부인 아버지를 사고로 잃고 엄마와 어린 동생을 돌보며 한 집안의 가장으로 살아가던 캣니스.  구역밖에서 사냥친구인 게일과 함께 각자의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었습니다.  '그날' 해마다 돌아오는 추첨일 광장에 구역주민들이 모여 '헝거게임'에 가기 위한 소년, 소녀를 뽑던날.  이제 막 12살이 된 그녀의 동생이 그 대상이 되지만 자신이 대신해 자원하게 됩니다.  소년은 빵집아들인 피타와 함께 캐피톨로 향하게 되는 두 사람.  처음엔 24명의 아이들 사이에서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라고 의문하던 캣니스는 점점 삶의 희망을 보게 됩니다. 

 

폐허가 된 북미대륙의 독재국가 '판엠'의 중심부 '캐피톨'에서 주변 구역들의 반란을 잠식시키고자 만들어낸 정치의 상징인 '헝거게임' 이 게임은 해마다 12개 구역에서 십대 소년, 소녀 한명씩을 추첨으로 뽑아 일정한 구역에 풀어놓고 최후의 한명이 살아남을때까지 죽이는 생존게임이다.  이 방송은 24시간 리얼리티 TV쇼로 생중계가 된다.  이 게임에서 살아남는다면 평생 먹을걱정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살아남기 위해 상대를 죽이기 위해 뛰어야했던 기억들은 평생 안고가야 할 끔찍한 기억이 되지 않을까요? 

 

게임을 위해 해마다 제물처럼 바쳐지는 아이들, 그리고 그것을 지켜 볼 수 밖에 없는 가족과 사람들.  그들에게 베풀어지는 모든 것들이 게임장에 들어가기 전까지, 그리고 살아남는다면 그 이후에도 누릴수 있는 것이라 하지만 캣니스와 피타 주변에서 그들을 서포트 하던 사람들에게선 인간적인 면모도 느낄 수 있습니다.  어쩔수 없는 권력에 해마다 행해지는, 그들에겐 어쩌면 무감각해진 해마다 벌어지는 하나의 이벤트 일지도 모르지만 경기장에서 죽어나가는 아이들은 어쩔수 없는 정치와 권력의 희생량이 되는거죠.  게임장에서의 생생한 묘사, 살아남기 위해 저마다 다른 방법으로 방법을 찾아가는 아이들.  크게 '잔인하다'라고 느껴지지 않았던건 캣니스와 피타의 로맨스도 한 몫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살아남기 위해 계속 생각하고 달려야했던 캣니스, 그에 비해 진심인걸까? 아니면 피타도 살아남기 위한 전략인걸까? 를 생각하게 했던 그들의 이야기는 이례적인 '헝거게임'의 역사를 만들며 다음이야기를 기대하게 됩니다.  다음이야기는 캣니스, 피타, 게일의 삼각관계로 진행 될 것 같은데...영화개봉을 앞두고 서둘러 읽었지만 책장넘김을 멈출수가 없어 날이 밝아서야 책장을 덮을 수 있었던 <헝거게임> 영화는 어떻게 만들어졌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책을 먼저? 영화를 먼저? 고민중이시라면... 책은 정말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기에 꼭! 읽어보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아~~~ 2부, 3부도 읽어야하는건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본 서평은 해당출판서에서 제공받은 책으로,  본인의 주관적 의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