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선생님 365 - 가르치지 않고 가르치는 세상의 모든 것
정철 지음 / 리더스북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학교밖에는 더 큰 학교가 있다.

 

 

학교를 다니면서 교문안에서의 생활이나 시간들을 소중하게 여기는 학생들이 있을까?  나 역시도 학창시절 공부가 지겨웠고 빨리 학교를졸업해서 멋진 사회인이 되고 싶었다.  '멋진' 이라는 단어가 어찌나 달콤해 보였는지 정규 교육과정들만 마치고 사회인이 되면 나이를 먹는 만큼 '나이값' 이란 걸 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지만..... 큰 착오였던 것 같다.  내면은 성장하지 못한 채 학창시절 그대로 나이만 먹어버린 날 보게 된다.  학교에서 배운 것 조차 잘 기억나지 않는데 사회에서 내가 그동안 배운것은 무엇이었을까?

 

 

우리는 학교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또 금세 다 잊어버리고 학교 밖으로 나옵니다.  학교 밖에는 선생님이 없습니다.  출석을 부르고 숙제를 내주는 선생님이 없습니다.  인생이라는 과목은 내가 다 알아서 해야 합니다.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선생님이 곁에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그때 주위를 둘러보면 선생님이 보입니다.  선생님이 고픈 사람에게는 거짓말처럼 선생님이 보입니다.  수없이 많은 선생님들이 선생님이 아닌 척 하며 우리 곁에 앉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것은 커피나 치약, 가방이나 의자입니다.  지갑이나 연탄이나 베개입니다.  /p4 (Opening)

 

 

책을 들고 자세히 읽기 전엔 아이들을 위한 지침서 쯤으로 생각했는데 책을 몇 장 넘기다 보니 <내 머리 사용법>이라는 책으로 먼저 만났던 카피라이터 정철님의 책이다.  6교시에 걸쳐 만나는 365개의 선생님들을 그 나름의 분류대로 수업시간별 각 교시마다 이름을 붙이고 그에 해당하는 작은 제목목들, 그리고 그 속에서 만나는 여러 선생님들.   학교가 아닌 곳에서도 우리가 찾고자 하면 보이는 주변에 많은 선생님들...그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보는 이들의 시각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 이 책을 읽지 못했더라면 주변의 크고작은 일상속의 담긴 이야기들을 놓치고 지나갔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내 머리 사용법> 보다 조금 더 유~해진 듯한 작가의 필체를 느낄 수 있었다.  작가로서의 연륜이 묻어난걸까?  그동안 글을 읽는 내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글을 읽는 이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쉽게 읽혀지게 하는 것도 작가의 재능이 아닐까?  누군가의 도움으로 사물을, 세상을 보는 시각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다면 살아가는 매일에 활력이 되어줄 수 있을 것 같은 책 이었다.  권하고 여럿이 함께 읽었으면 하는 행복한 책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