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의 도시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12월
평점 :

특정 작가의 출간소식에 귀가 번쩍 하는 작가들이 있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국.내외 작가들 중 몇몇 분들이 계시는데 그 중 한 분이신 오쿠다의 신작 『꿈의 도시』 출간 소식에 들썩이지 않을수 없었다. 이 책 전에 출간되었던 에세이를 읽었던 지인이 전작 대비 실망감을 많이 내비치기도 했지만 '오쿠다 월드' 라는 이야기나 매니아층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에도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을 갖는 이들이 많은 것 같다.
회색빛 하늘, 눈은 그칠줄 모르고 내리며 쌀쌀한 기온탓에 도시의 분위기는 '꿈의 도시'라는 이름과 어울리지 않게 차갑고 음침하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인근 세 개의 작은 도시가 합쳐져 탄생한 신도시 '유메노'에서 저마다 꿈을 안고 살아가는 다섯명의 사람들이 릴레이처럼 돌아가며 이어지는 스토리는 630여페이지에 달하는 책의 두께를 느끼지 못할만큼 스피드있게 전개 된다. 꿈의 도시, 드림타운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그곳에서의 탈출을 꿈꾼다. 잘 읽어졌던 반면 다시 글로 정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이유는 일상에서 흔하게 마주할 수 있는 사람들이고 어쩌면 우리의 이웃이거나 나 일수도 있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에 너무 감정이입이 되어 정리할 시간이 필요 했던것 같다.
큰 꿈을 안고 탄생한 도시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 상점들은 큰 점포들의 등장으로 인해 망해서 문을 닫았고, 정치가들은 큰 도시로 떠날 생각만 하고 있다. 젊은 사람들은 도시로 떠나면서 남는 건 노인들이나 젊은 미혼모들이며, 젊은 주부들은 원조교제라는 이름으로 매춘을 일삼는다. 이런 도시에서 각자의 꿈을 안고 사는 환경, 나이, 직업, 성별, 가치관이 전혀 다른 다섯 명의 시민이 있다. 대기업의 횡포로 작은 소상공인들은 더 살기 어려워졌고, 지역발전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해서일까? 젊은이들은 대도시로만 향하고 있다. 그래서 시골에 남는건 나이든 노인들 뿐이고 그마저도 생활이 어려워 하루하루가 힘들다. 한가지 공통점이라면 이들은 삶에 지쳐있다는 것...이런 이들에게 작은 변화들이 생기고 이야기는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다섯명의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교대로 돌아가며 들려주면서 이야기는 그들의 캐릭터를 이해하고 울타리가 생기면서 그들 사이의 연결고리가 등장하면서 점점 흥미로워지고 스케일도 커지기 시작한다. 단순히 재미를 위한 이야기가 아닌 실제 생활에서 있을 법한 이야기들은 일본의 현 실태를 꼬집어 이야기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디테일한 인간들의 군상을 엿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버지의 후광으로 지역구 3선을 노리는 시의원 '준이치'와 전직의원이라는 자리를 이용해 자신의 잇속을 드러내놓고 챙기는 '후지와라'의 이야기는 정치라는 건 이럴 수 밖에 없는 걸까? 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보여지기 위한 가족 그리고 그걸 지키기 위해 노력하지만, 과연 이렇게 얻어지는 결과물들은 무엇이며 누구를 위한 것일까? 책에 등장하는 다섯 명의 등장 인물중 가장 나은 경제,지위 권력까지 가지고 있지만 출세를 위한 야망이 그를 나락으로 몰고가고 있는 건 아닌지 안타까웠다.
이들의 이야기는 전혀 연관성이 없을 것 같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며 그 울타리는 점점 더 견고해지고 그 안에서 조금씩 맞물리거나 교차되면서 진행된다. 이야기의 클라이맥스 부분은 도미노의 마지막부분을 연결해 나아가는 것처럼 숨가쁘기까지 하다. 하지만 결말부분이 헐리웃 영화의 마지막처럼 약간 억지스럽다고 느껴지는 건 시간이 흘러도 글이 정리가 되지 않았던 요인중 하나 였던것 같다. (왜 인지는 읽어보면 아실지도..) 유메노에서 살아가는 다섯 군상들의 이야기는 우리의 현실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느껴져 더 집중하게 되었다. 오쿠다의 작품들은 밝고 경쾌한 작품들만을 읽어서 인지 현실을 날카롭게 이야기하는 글을 읽으며 갸웃했던 건 사실이다. 아마 그의 스타일은 '이렇다!'라는 선입견이 너무 강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였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 할 수 있기에 미래에 대한 희망도 꿈 꿔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보게 되었던 작품이었던 것 같다.
"조금만 참아요." 낯선 사람들이 격려해주었다. "구조대 금방 올 거야." "그때까지 정신 차리고 견뎌내요" 필사적인 성원이 귀에 와 닿았다. 내내 잊고 있던 인간의 다정함이었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이런 고마움을 좀 더 일찍 느꼈더라면 좋았을 텐데. 빛이 비쳐들었다. /p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