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의 아트 스피치 - 대한민국 말하기 교과서
김미경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스피치의 편견을 깨자.  평소 지인들과 말하기엔 큰 어려움이나 부담이 없는데, 갑자기 자기소개를 하게 되거나 면접, 면담 이런 말하는 자리에선 상당히 부담을 가지게 된다. 몇일전부터 심장은 두근두근 사람들 앞에 서기만해도 호흡이 가빠지고  준비했던 말들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은채 이상한 횡설수설 내가 무슨말들을 하고 내려왔는지도 모르게 된다.  이렇게 '스피치'는 특별한 말하기가 아닌 일상적인 생활속에 녹아 들어있는 것이다.

 

글쓰기에도 관심이 많았지만 그만큼 말하기에도 관심이 많았다.  그러던중  MBC희망특강 <파랑새>의 국민강사 김미경의 책을 만나게 되었다.  김미경 강사의 다른 강의들은 따로 찾아볼 기회가 없었지만 <파랑새>에서 몇번 만나본 그녀의 강의는 정말 사람을 끌어당기는 그 무엇인가가 있었다.  엄마도 책표지를 보시더니 "어? 김미경이잖아?" 하신다. "엄마가 이 강사를 알아?" 하고 여쭤보니 가끔 아침방송에 나와서 아신다는 것이다.  말을 잘하고 또 어렵지 않은 말들로 쉽게 이야기하니 더 자세히 듣게된다고.. 책표지에서부터 자신감 넘쳐보이는 제스추어의 김미경 강사.  긍정의 에너지가 마구 뿜어져 나오고 있는것 같았다.  책 뒷표지에 빼곡하게 적힌 많은 분들의 추천사가 책 속의 그녀가 전해줄 노하우, 이야기들을 더욱 궁금하게 한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part1. 파워스피치/  part2. 콘텐츠 스피치  

 

 part3. 공감 스피치/   part4. 뮤직 스피치

 


 part5. 비주얼 스피치/  part6. 스탠딩 스피치 로 구성되어 있다.

 

 

말의 본질은 번지르르 함에 있지 않고 자신의 마음을 전해 남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을 소통의 기본으로 삼고있다.  말 잘하는 사람은 많지만 진실이 담긴 자신만의 콘텐츠를 담은 말을 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꼭 강사가 되기위해서 라기보다 다른사람들과의 원활한 소통, 그리고 나를 최종적으로 표현하는건 '말' 이 아닐까?  자신을 표현하기에 아무리 좋은 조건이나스 스펙들이 있어도 막상 다른 사람들에게 '나' 자신을 제대로 스피치 할 수 없다면?  요즘은 나 자신을 제대로 PR하는것도 중요한 시대이니 '말하기'의 중요함은 강조하고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을것 같다.  음악을 전공한 경력을 스피치에도 적용하여 말을 리듬감 있게 하는 벙법에 대해서도 읽어 볼 수 있다.  한시간이상의 강의를 할 때 웅변 연사같은 톤으로만 이어진다면 아마도 지루해서 듣고있는 사람도 말하는 사람도 금방 지칠 것이다.   김미경 강사가 16년간 터득한 노하우나 현장에서의 생생한 체험을 책한권으로  읽을 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다. <아트스피치> 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낸 그녀. 앞으로 그녀의 행보도 정말 기대된다.  '스피치'에 자신이 없어하는 분들에게 한번쯤 읽어보시라 권하고 싶은 책이다.

 

아이는 물론 이고 어른들도 자신을 존중하는 말 덕분에 성장한다.  스피커는 청중을 무조건 인격적으로 대해야 한다.  청중을 인격적으로 대할수록 스피커의 인격도 함께 올라간다는 걸 잊지 말자. -p159

 

자신이 어떤 목소리를 가졌든 목소리 탓은 그만하자.  요즘엔 목소리도 개성이 있어야 빛을 발하는 시대다.  방송인 박경림은 목소리가 잘 꺾이고 조금만 세게 발음해도 쉰 소리가 난다.  그러나 그녀가 30분 스피치를 하면 누구나 재미있게 듣는다  콘텐츠가 괜찮으면 잘 들리게 돼 있다. -p227

 

자기소개에서 가장 나쁜건 말 그대로 자기소개만 하는 것이다.  본격적인 자기소개에서는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해줄 만한 에피소드 하나를 곁들인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나타내는 상자 10개 정도는 가지고 있다.  나도 스피치 전문가로서의 김미경, 세 아이의 엄마로서의 김미경, 기업 CEO로서의 김미경등 여러 개의 상자가 있다.  여기에서 모임 성격에 맞는 상자 하나를 여는 것이다.. 중략... 자기소개는 단순히 내가 누구인지를 밝히는게 아니라 모임 성격에 맞는 자기소개 한 상자를 선물함으로써 서로 소통하게 만드는 물꼬라 할 수 있다그리고 자기소개의 최종 목표는 다음에 또 만나고 싶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다. -p281-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