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인 캐나다 - 순수한 열정으로 캐나다를 훔쳐버린 당찬 20인의 이야기
임선일 지음 / 라이카미(부즈펌)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순수한 열정으로 캐나다를 훔쳐버린 당찬 20인의 이야기"

 

동계올림픽이 열렸던 나라,  로키 산맥이 있고,  메이플 시럽이 유명한나라. 그래서 더욱 궁금했던 책이었다.  나에게 캐나다가 그냥 먼 나라만이 아닌 이유는 지난 연말에 캘거리방문을 했었고 밴프 설파산에도 올라보았다.  비록 여행 일정때문에 짧은 1박2일의 방문이어서 캐나다를 제대로 알기는 어려웠지만 함께 방문했던 친구가 1년여간 살던 도시여서 더욱 머물렀던 시간은 하루였지만 큰 의미로 다가왔던 캐나다.  지역이 캘거리가 아닌 오타와 주변이라 약간 생소했지만 그들의 열정을 느끼기엔 전혀 부족함이 없었다.

 

책을 처음 만났을때 바로 얼마전 읽었던 <라, 브라바>가 떠올랐다.  이 책도 나에게 그런 감동이나 열정을 줄 수 있을까?  바로 말하자면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열정에 동참하기엔 그들의 나이보다 훨씬 많이 들어버린것 같다.  보통 워킹홀리데이나 대학재학중인 학생들, 또는 국내 취업준비를 하다가 외국어 공부때문에 어학연수간 학생들중 열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하며 적은글이라 어학연수, 코업 등 유학생활이나 워킹홀리데이를 준비하며 필요한 제반 설명들이 잘 되어있다. 

 

그들이 캐나다에서 얻은 열정, 에너지 그리고 앞으로 해야할 일들을 구체적으로 읽을 때면, 젊은 친구들이 참~ 빨리 트여서 부럽다.  정말 부럽다!!!! 요 한마디로 정의?  물론 현지에서 힘들게 생활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또 나름 구체적인 계획들로 먼 타지에서의 생활에 멋지게 적응하며 살고 있었다. 

 

 

그에게 "캐나다는 대체 어떤 나라야?" 하고 묻자 "내가 무슨일을 하던 박수를 보내고 용기를 주는 곳이 바로 캐나다야.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최상의 환경이지.  그리고 캐나다처럼 외국인한테 열린 나라가 없을걸?" 하면서 자기가 이 나라에서 태어난 게 정말 다행이라며 씩 웃었다. -181

 

캐나다는 '이민자의 나라'로 불릴 만큼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오가기 때문에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나라이다.  그만큼 다양한  국적, 자라온 환경들이나 언어도 다른사람들이 모여 살기 때문에 서로가 다르다는것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열린나라' 그러기에 자신의 꿈을 펼치기에는 최상의 환경인것 아닐까?  그런 곳에서 만난 20인의 공통점은 자신의 삶에 안주하지 않고 도전하고, 성취하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자신의 꿈을 위해 노력하며 당차게 도전하는 사람들.  그들의 행복한 꿈이야기에 나도 설레이는 마음으로 다시 한번!!  이라며 화이팅! 해보기로 했다. 

 

저는 항상 발전하는 사람이고 싶어요.  어제보다 더, 지금보다 더요!  사실 저 스스로는 지금이 한국을 떠나 올 때보다 훨씬 더 많이 발전했다고 믿고 있어요.  길지 않은 유학생활을 해왔지만 그 유학생활이 제게 준 가장 큰 선물은 바로 더 넓은 세상을 향해 갈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안목과 행동력이라고 믿고 있어요.  -p196

 

난 왜 '사람은 넓은 곳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하는지 이제 알 것 같아.  여기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그 사람들을 통해서 내가 몰랐던 것들도 보고 듣게 되니까, 지식이나 상식도 늘고 생각도 더 깊어지게 되더라고, 또 각기 다른 에너지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하다 보면 우리도 삶에 자극을 받고 활력을 얻게 돼.  나도 그사람들에게 좋은 기운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어지고. -p234

 

제가 헤어 공부 시작했을 때부터 가슴에 새긴 말이 있어요.  "내가 하고 있는 모든것이  knowledge다.  그리고 이 모든 지식들이 하나 하나 쌓여서 나중에 큰 힘을 발휘할 것이다." 헤어에서 시작해서 손톱에 대한 지식을 얻고, 또 호스피탈리티를 공부하고 새로운 경험을 쌓고. 그렇게 서른쯤 되면 제가 했던 것들이 잘 섞일 것 같아요.  그리고 큰 힘을 발휘하겠죠!  -p3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