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1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
로버트 해리스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로버트 해리스와의 두번째 만남..

첫번째 읽었던 '당신들의 조국'과는 전혀 다른 시대의 이야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역시 로버트 해리스!! 라는 감탄사 부터 나온다.

 

대재앙의 순간을 다룬 폼페이의 화산폭팔 시점을 이틀전부터 시작해서 긴박하게 진행하면서 대지진이후 17년이 흐른 폼페이에서 급성장한 문명화된 도시 안에서 이루어지는 관료들의 타락과 급속도로 발전된 건축들과 문화양식으로 자연의 변화를 외면한 사람들.   읽다보면 짧은 이틀이라는 사건 안에서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많은것을 최대한 전하고자 했던것 같다. <폼페이>라는 책이 세상에 나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료 수집들과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했으며 그 자료들을 책 한권에 체계적으로 집필하기 위해 노력했을까... 확고한 직업의식을 가진 수도기사 아틸리우스,  부정한 수단으로 돈을 모아 잔인한 지배자가 되어가는 졸부 암플리아투스,  이런 아버지를 증오하며 정의를 위해 싸우는 딸 코렐리아, 비굴한 관리의 전형인 포피디우스, 해박한 지식과 탐구의지를 지닌 플리니우스 등 등장인물들의 절묘한 조화가 두꺼운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지루하지 않게 이어진다.  돈과 권력이 사회에 영향을 미쳐 폭팔의 징후들은 미리 나타났었지만 이런 징후들을 알고있던 엑솜니우스는 그것으로 암플리아투스와 거래를 하기도 했다.  돈과 권력으로 인해 생기는 부정부패와 비리들이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그대로 전해져오고 있다. 돈과 권력, 부정부패는 뗄 수 없는 그 무엇일까? 아마도 인류가 계속 되는한 그 것들도 함께 할 듯 하다.  책을 처음 만났을때는 너무 거창하다.. 양장본인데다 부피가 상당해서 부담스러웠는데 꼭..이렇게 만들어져야 했을것 같다.  폼페이의 화산폭팔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그시대의 학문,경제,건축양식이나 사회상 까지 총망라하며 이렇게 자세하게 기술한 책이 또 나올수 있을까?  로버트 해리스의 <폼페이> 왜 열광하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던 책이었다. 

 

 

아틸리우스는 가까이 있는 황소의 고삐를 잡아끌었다.  폼페이에서 출발할 때와 똑같은 장면이 재연되었다.  처음에는 아무도 움직이려 들지 않다가 모두들 마지못해서 아틸리우스를 따라나선 것이다.  아틸리우스는 생각했다.  누군가를 따르려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며, 누구든 목적의식이 가장 강한 사람이 항상 다른사람들을 제압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지금껏 만난 사람들 가운데 암플리아투스만큼 이러한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 -p257

 

자연의 여신은 자신이 내어준 것을 순식간에 다시 빼앗아가는 법이다.  벽돌담은 빗물과 동파로 무너져 내리고 가도는 푸른 잡초에 파묻힌다.  그리고 물을 나르려고 만든 수로는 물에 의해 막혀버린다.  '문명화'라는 것은 결국 인간이 패배할 수 밖에 없는 냉혹한 전쟁이다. -p263

 

사람들의 머리카락과 옷가지들을 순식간에 태워버린 불길은 산소부족으로 인해 금세 사그라들었다.  돌풍이 지나간 자리에는 높이가 2미터 가까이 되는 고운 재가 소리없이 내려와 도시를 덮쳤고, 변을 당한 희생자들의 본이라도 떠놓은 듯 그들의 몸을 감쌌다.  이 잿더미는 그대로 굳어졌으며 그 위에 또 다시 경석이 떨어졌다.  본을 뜬 공간 안에서 시체들은 썩어갔고 수백 년이 지나면서 그곳에 도시가 존재했다는 기억도 함께 썩어갔다.  폼페이는 그렇게, 완벽하게 본이 떠진 '텅 빈' 시민들의 도시가 되었다. -p452

 

인간은 스스로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실수를 범했다.  그리고 인간은 언제나 스스로를 만물의 중심으로 생각한다.  바로 이것이 인간의 가장 잘못된 독단이다. -p4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