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덕혜옹주..

고귀한 신분을 타고났지만 불운의 역사 때문에 버림받았던 비운의 황녀.

우리나라 역사엔 기록조차 없어서 일본인 '혼마야스코' 가 쓴책을 번역해가며 참고했다고한다.

 

그녀는...

고종의 사랑스러운 막내딸 이었고,  일본에 볼모로 잡혀가 37년동안 비참한 삶을 살았다.

일본인과의 강제결혼.  조국을 잊고 그곳에 살고자 마음먹었다면 평탄한 삶을 살 수도 있지 않았을까?

남편의 정성으로도 그들 사이의 핏줄로도 그녀는 조국에 대한 그리움을 지울 수 없었다.

정신병동에 감금되어서도 조국에 대한 그리움

조국이 독립했음에도..

고국으로 돌아오는 길이 어렵고 힘들기만 했던 그녀...

 

그녀의 사람들..

복순.. 딸인 정혜보다 오히려 옹주의 분신과도 같았던 그녀...

          그녀 자신도 힘든 삶을 살지만 옹주를 마지막까지 보필한다.

김장한..그가 조금만 더 정확하고 빠르게 옹주를 구출했다면..

(박무영) 옹주와 제대로 결혼했다면 평탕한 삶을 살았을텐데..

              평생을 옹주의 조국귀환을 위해 노력했던 그.

그러나 이들은 마지막까지 옹주를 조선으로 보내야한다는 희망을 놓지 않는다.

 

그녀가...

그녀의 역사를 새로이 쓸 수 있다면..

일본으로 볼모로 잡혀갔을때 탈출을 해서...

조선으로 복귀하는 해피 엔딩을 다시 만나고 싶다.

 

책을 읽는동안 답답함과 먹먹함에 마음이 아렸지만 그녀의 죽음이 오늘날 재조명 되면서

일본에서 힘겨운 삶을 살면서도 고국땅에 대한 그리움과 옹주로써의 위엄을 잃지않았던

그녀를 우리 역사는 기억해야 할 것같다.

 

 

p337

망국의 옹주로 태어나 서러운 생을 살았지만 이처럼 서러운 적은 또 없었다.

세상의 어느 어머니가 이토록 외로울 수 있으며, 세상의 어떤 여인이 이토록 서러울 수 있을까,

내 곁에는 바람소리도 머물지 않는다.  모든 것이 내 곁을 스쳐지나갈 뿐이다.  세월이여, 진정 따스한 손길을 보내주오.  내 속으로 낳은 아이마저 나를 모른다 하오.  나와 살을 섞은 남자도 나를 모른다 하오.  나를 낳은 나라도 나를 모른다 하오.  나는 부유하는 먼지처럼 어디에도 마음을 내려놓을 수가 없오.  이토록 삶이 무겁다니.  이토록 고단하다니.....

 

p.401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비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p.403

'나의 마지막 소망은 오로지 자유롭고 싶었을 뿐이었느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