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중원 2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인 '제중원'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 나와서 반갑기 그지 없다. 읽는 내내 구한말, 의료 선교사들이 우리나라에 뿌린 씨앗들 속에 숨겨져 있던 소중한 가치들이 어떻게 바랑되고, 성장해 왔는지를 되새겨 보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 아무리 시대가 바뀌어도 의사로서, 또는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가치는 바로 '휴머니즘'이라는 것을 이 소설은 재미와 감동으로 구현해 내고 있다. 제중원에 대한 철저한 고증 위에 작가적 상상력을 덧씌워 이처럼 보기 드문 이야기를 선사해 준 이기원 작가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박창일
저는 이 소설의 주인공 황정을 '운 좋은 남자'라고 생각합니다. '운(運)'은 움직이는 자에게 주어진다고 합니다. 구한말, 백정으로 태어난 황정이 신분의 벽을 뛰어넘어 조선 최초의 의사가 된 데에는 많은 '운'이 따랐습니다. 그리고 그 운은 황정 스스로 현시에 ㄱㄹ하지 않고 치열하게 노력하고 '움직여서'만든 결과 였고요. 이 소설에는 그러한 '불가능한 꿈'을 꾸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불행'을 '행운'으로 바꾸고, '꿈'을 '현실'로 바꾸고, '과거'를 '미래'로 바꾸는 힘 말입니다. 여러분도 저처럼 '황정의 과거'에서 자신을 보고 '황정의 미래'에서 자신의 꿈을 발견하길 바랍니다.
드라마 <제중원> 황정역 배우 박용우
제중원 2권의 스토리는 더 빠르게 진행된다. 제중원에 의학당이 설립되고 의생으로서 생활하던 황정이 아버지의 등장으로 다시 백정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복귀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양반집 아녀자를 살려내긴 하나 관습의 차이로 살려낸 아녀자는 자결을 하고 그는 죽음의 문턱에서 스승들의 도움으로 의생으로 다시 사는 삶을 얻는 반면 면천도 하게되어 백정의 신분에서 중인으로 거듭나게 된다.
백도양은 이 모든것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일본 유학길에 올라 유능한 의사가 되어 돌아오지만 자신의 스승이 본인의 암수술을 황정에게 맞기는 것을 보고 자신에겐 '휴머니즘' 과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섬세함이 없다는걸 깨닫고 인정하게 된다.
황정은 우연한 기회에 의병대장을 살리게 되며 자신이 가야할 길을 확신하며 독립군 의병장이 되어 떠나며 책은 끝을 맺는다.
백정이라는 천한 신분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가 되어 독립군 의병장까지..그의 삶은 운이 따랐다고 밖에 할수 없을것 같다. 본인도 순간순간 체념하고 겸허히 받아들이기도 했지만 그에 따른 운이 없었다면 그의 인생은 또 어땠을까?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라 마음이 가고 내 꿈을 위해 오늘을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새로이하는 계기가 되어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