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 아름다움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조주관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10월
평점 :

#도스토옙스키가사랑한그림들 #도서협찬
이 책에 또 다른 제목을 붙인다면 그건 아마도 '도스토옙스키의 미술관'이 되리라.
여기서 '미술관'이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회화·조각 따위의 미술품을 모아 전시하는 곳을 가리키는 미술관(美術館)이고, 다른 하나는 작가나 비평가가 미술을 보는 관점을 뜻하는 미술관(美術觀)이다. 세계적 문호 도스토옙스키 미술 애호가로도 유명했지만 그 스스로 뛰어난 미술평론가이자 시사평론가이기도 했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을 읽으면 예술의 진정한 가치를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언어예술이든 시각예술이든, 예술은 우리 시야를 넓혀주고, 인지할 수 있는 세계를 확장시켜준다. _작가의 말
저자는 이야기한다.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은 미술문화의 체험 공간이다'라고... 아내와 해외여행에서 이루어진 미술관 관람과 기록과 경험은 그의 작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는 좋아하는 그림들을 소설에서 언급하기도 하고, 글을 쓰다 원고지에 작중인물을 직접 스케치하기도 했다고 한다. 도스토옙스키가 그림에 대한 관심과 탁월한 안목은 그의 아내 일기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도 했다.
러시아 문학이 생소하기도 하고 어렵다는 생각에 책만 쌓아두고 책장도 넘겨보지 못한 작가 도스토옙스키. 반세기 가량 도스토옙스키의 문학에 경도되어 살아온 저자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도스토옙스키 미술평론, 독자적 미술관을 깊이 탐구한 책으로 책에 소개된 미술작품들과 도스토옙스키의 문학작품에 대한 이야기들은 읽지 못했던, (읽어보고 싶었던) 그의 작품에 호기심을 살살 지피는 계기가 되어준 책이기도 했다. 『백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악령』 『지하로부터의 수기』『미성년』등의 소설을 ‘시각예술적 관점’으로 새롭게 번역하며 그림을 통한 독특한 감수성을 통과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에 진입장벽이 있는 이들이라면 이 책이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미술이나 문학 모두 고통과 상실의 예술이다. 카라치의 그림 <가시관을 쓴 그리스도>는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고통의 길을 택한 그리스도의 모습니다. 고통은 도스토옙스키의 최대 관심사다. 그의 문학은 고통을 관리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고통, 분노, 슬픔과 같은 것은 우리가 행복이라 부르는 것과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뭉치로 따라다닌다. _38p.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에서 인간은 살다 보면 죄를 짓게 되고, 죄지은 자는 고통을 받게 되고,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회개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반복된다. 참신앙인 도스토옙스키 역시 '회개하는 막달라 마리아'를 통해 회개하는 사람들을 상상해 봤을 거란 생각이 든다. 참회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언제나 감동적이기 때문이다. _69p.
'그림 읽기'는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에 담긴 의미를 자세히 음미하면서 감상함을 뜻한다. 러시아 정교의 성화와는 전혀 닮지 않은 <시스티나의 마돈나>를 찬미했던 도스토옙스키는 아름다움에 대한 인류에 대한 이상을 바로 이 성화에서 찾았다. _130p.
도스토옙스키는 화가의 그림에서 받은 영감을 소설 속에 기술하는 대표적인 에크프라시스 작가다. 그림의 의미 파악은 항상 언어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다. 그림이라는 이미지 자체는 스스로 아무 말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스토옙스키는 이미지를 글로 변환하여 이야기를 들려준다. _219p.
*에크프라시스(Ekphrasis)'는 상상력과 관련된 예술 직업의 그리스식 정의
#조주관 #arte #문학 #소설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도서추천 #book #책수집가 #카라마조프가의형제들 #미술책 #예술책 #미술관여행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