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병률 지음 / 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 무엇이라는 걸 알려주는 이가 없고, 세상엔 사랑을 가르쳐주는 교실도 없었기에 당신은 물감을 짜놓고 막막해할 뿐 도화지에 점 하나조차 찍을 수 없다. 그러다 사랑은 배워서 하는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된 어느 날에는, 그래서 사랑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는 어느 날에는 체기를 누르고 누르다, 그저 흐릿하게 주저앉게 되는 것이다. (···) 사랑을 배운 적이 없어서, 사랑을 하지 못하는 당신이 사랑을 하지 못하고 있을 때도, 세상은 사랑의 풍경을 보여주며 페이지를 넘긴다. _48~49p.

 

이병률, 최갑수, 변종모, 오소희작가님등 개인적으로 애정하고, 책장에 늘어가는 책들을 정리하고 싶어도 이 책들만은!! 하면서 사수하게 되는 작가님들이 있다. 작가님마다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스타일이 있으신데, 이병률 작가의 글은 시인 특유의 감성이 느껴진달까? 가볍지 않으면서도 일상에 조금 더 깊이 와닿는 이야기와 사진들은 한 번에 읽어내기 아까우면서도 호로록 읽고 다시 페이지를 넘겨보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2005 #끌림

2012 #바람이분다당신이좋다

2015 #내옆에있는사람

2019 #혼자가혼자에게

2022 #그리고행복하다는소식을들었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읽는 <그리고 행복하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에는 사랑 이야기로 가득하지만 살아가는데 왜 '사랑'이 있어야 하는지 우리는 왜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지에 대해 읽어가다 보면, 사랑쯤이야 없어도 살아가는데 괜찮지 않을까?라는 시니컬했던 마음이 '왜 사랑하는 마음 없이 살아가려 하는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좋은 일이요? 생깁니다. 곧, 그거"라는 저자의 사인처럼, 일상에 스며든 작고 사소한 사랑의 흔적들을 반짝! 하고 찾을 수 있기를... 책 읽기 참 좋은 계절, 추천하고 함께 읽고 싶은 책이다.

 

우리가 사는 삶이란 그저, 사랑하는 모두가 빠져나간 자리의 뒷전을 자주 느끼는 일이며, 사랑이 사랑의 힘만으로 도달할 수 없다는 불가능을 여러 번 체험하는 일이며, 도무지 막으려 해도 막을 수 없는 신산한 시절을 그저 견디고 견뎌야만 하는 일. 피할 수 없어서 우리는 그 모든 것들의 쓸쓸함을 삼키고 또 삼키며 삽니다. _160p.

 

당신이 행복하다는 소식을 또 들었습니다. 당신의 행복은 당신 혼자 만든 것이기를 바랍니다. _162p.

 

행복하려고 사랑을 하는 걸까? 사랑을 하면 행복해지는 걸까? 설교 투의 이 질문은 '파도는 밀려오는 것인가, 돌아가는 것인가' 하고 따지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사랑과 행복은 한몸이어서 그것을 생선 바르듯 뼈와 살로 발라낼 수는 없다. 다만 사랑이 무엇이라고는 말은 못 해도 행복의 다른 말은 '충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_172~173p.

 

#그리고행복하다는소식을들었습니다 #이병률 #에세이 #에세이추천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