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 위의 고백들 에세이&
이혜미 지음 / 창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식탁위의고백들


음식을 내기 전 깨소금을 뿌리거나 지단 등의 고명을 올리는 것은 접시를 받는 이에게 '당신이 처음'임을 알리는 의미라고 합니다. 선물에 리본을 묶어 직접 풀어보도록 하는 것처럼. 그런 마음으로 이 글을 씁니다. (···) 요리를 통해 조금 더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주어진 순간들을 공들여 매만져 하나의 최선을 만들어내는 기쁨으로. 그래서 저에게 그릇에 음식을 담는 행위와 종이에 글씨를 올리는 일은 때로 구별되지 않습니다. 요리는 접시에 쓴 시, 시는 종이에 담아낸 요리 같습니다. _작가의말


음식으로 시를 쓴다면 이렇게 표현이 될까? 시인인 저자가 옥탑에서 식물을 키우며, 식재료, 본격적인 요리와 달콤한 디저트까지 그 재료와 식재료의 활용이나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들이 소박하면서도 때론 이렇게 손이 많이 가는 요리를 굳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한 번은 만들어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취향이라 먹지 않았던 식재료가 음식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며 호감이 생기기도 하고, 일주일을 꼬박 정성과 시간을 들여야 만들어지는 디저트를 보며 이렇게까지~라는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그 과정들이 애정으로 보이게 된다. 식재료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활용, 이해 등은 요리에 대한 마음이 진심으로 느껴져 도전해 보고 싶은 요리를 하나둘씩 꼽아보게 될 것이다. 음식을 만드는 과정이 꼭 한 편의 시가 탄생하는 순간을 보는 것처럼, 페이지를 넘기는 내내 맛있는 선물을 받는 기분이 들었던 <식탁 위의 고백들>은 문장도 무척이나 아름다운 책이라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수란을 터트리는 일은 아름답고, 은밀하고, 사랑스럽다.

수란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흘러내리는 마음 같다. 우리의 마음 껍데기는 그만큼 얇고 연약해서, 조금의 손길만으로도 툭 놓치고 만다. 웃음도 눈물도 고여 있다가 끝내 '터진다'._50p.


양파의 매운 기를 빼는 방법은 물 혹은 불이다. 찬물에 담그거나, 불 위에서 볶거나, 슬픈 날 목욕이나 수영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사실이지만, 감정은 의외로 수용성이어서 물에 잘 씻긴다. 아무리 씻어도 잘 지워지지 않는다면 은근한 불 위에 올려 서서히 졸여본다. 안달이 나고 속불이 나도록 마음을 졸이다 보면 어느새 달고 어둡게 놓여 있는 한 줌의 시간. 슬픔을 흐르듯이 발음하면 스프가 되기도 하고, 스프가 냄비에서 끓는 모습은 어쩐지 풀어놓은 혼잣말 같기도 해서. 오늘은 양파를 오래오래 볶아 한 그릇의 스프를 만들어보려는 것이다. _98p.


기다림은 미래를 향해 자신을 열어두는 일이며, 무언가 찾아올 수 있게 내 안에 공간을 만드는 실천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의 빈 곳에서 초대와 체념, 기대와 불안이 뒤얽힌다. 기다림은 자신 안의 망상들과 싸우는 일인 만큼 적극적인 수동성이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하겠다. 자신을 막연한 기대와 혼란 속에 놓아두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결심. 그것을 세 글자로 줄이면 기다림이 되고 안키모가 된다. _123~124p.


#이혜미 #창비 #에세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에세이추천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