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리로 나온 미술관 - 길 위에서 만나는 예술
손영옥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1월
평점 :

#도서협찬 #거리로나온미술관
공공미술에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평범한 일상에 예술의 향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빽빽한 건물 숲속, 장을 보기 위해 찾은 마트 근처, 출퇴근길 우리의 발길이 닿는 곳, 그 어디든 공공미술은 24시간 연중무휴 간판을 달고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거리 위 작품 관람 시 가장 좋은 점은 시간이나 인원수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누구의 눈치를 볼 필요도, 심지어 관람선을 지키지 않아도 좋다. 언제든 편안하게 산책하듯 다가가 만날 수 있다. 바쁜 일상 속에서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가끔, 아주 잠시 멈춰서 주변을 둘러보면 공공예술 작품들이 수줍은 표정을 지으며 다가올 것이다. _에필로그중
굳이 미술관을 가지않아도 일상속에 미술품이 있다?!, 하지만 언제든 볼 수 있는 그 작품들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 미술품을 제대로 보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손영옥 미술평론가의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했다. 거리위 조각물과 건축물이 누구의 손을 거쳐 탄생했는지, 미학적인 가치와 시대사적 맥락, 설치된 배경과 어떤 점에 포인트를 두고 보면 좋은지등을 친절하게 이야기하는 '친절한 거리예술 안내서'이다.
다만, 인천공항과 울릉도의 건축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수도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리위의 미술관 산책은 서울이라는 공간, 수도권에 국한된 작품들이 대부분이라 조금 아쉬운 마음도 들었다. 개인적으론 오랜시간 오가며 보아왔던 작품들이 많아 책을 읽으며 생생하게 이해가 되고 와 닿았지만, 실제로 작품을 보지 못한 사람들이 읽었을때의 감상은 어떠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 가까이 풍경이 된 작품들의 거리위의 특별한 도슨트 투어는 새로운 미술산책이 되어줄 것이다.
조각은 어디에, 어떻게 세워져 있는가에 따라 맛이 다르다. 흰 벽으로 둘러싸인 미술관에서 예술의 오라(aura)를 풍기며 전시되는 작품도 거리로 나오는 순간 처지가 달라진다. 미술과에서는 모든 환경이 작품을 떠받들어주지만, 거리로 나오는 순간부터 미술 작품은 일상의 풍경과 경쟁해야 한다. 자전거 거치대,알록달록한 간판등 시선을 뺐는 다른 요소들 때문에 작품은 잡다한 도시 풍경에 묻혀버리기 십상이다. _82p.
집을 짓는 건축가들이 공공미술의 영역으로 나온 것은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미국에서 공공미술이 처음 등장하며 미술관에서 전시하던 조각을 크기만 키워 야외에 내놓는 방식이 성행하자, 한쪽에서는 이에 대한 반성이 일었다. 미술작품이 놓이는 장소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비판이었다. 이에 1970년대 중반부터는 주변의 건축물과 풍경을 고려하는 공공미술이 새롭게 태어났다. 이 시기부터 건축가들이 공공미술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국내에서는 2010년대 들어 현대미술 분야에 건축가들이 뛰어드는 흐름이 생겨났다. _246p.
#손영옥 #자음과모음 #자모단3기 #자모단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에세이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