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그거 봤어? - TV 속 여자들 다시 보기
이자연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어제그거봤어 ?

 

<어제 그거 봤어?>라는 제목은 콘텐츠 홍수 속에서 우리가 자주 하는 질문이다. 이렇게 멋진 걸 봤는지, 이렇게 시대착오적인 게 아직도 살아남은 걸 알고 있는지 당신에게 콕 집어 물어보려 한다. 동시에 수많은 이야깃거리 중 특정 콘텐츠를 우리 대화의 메인 화두로 꺼내겠다는 선전포고이기도 하다. 한 꼭지가 끝날 때마다 질문을 덧붙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혜로운 시청자로서 콘텐츠를 통해 당신의 역사와 주변 환경을 다시 점검하고 수정할 여지를 들여다보기 바랐다. _프롤로그

 

첫 시작 글인 '시트콤 하이킥 시리즈' 하이킥 시리즈에는 책상이 없다.라는 제목을 보고 갸우뚱했는데 글을 읽다 보니 당시 크게 생각하지 않았던 영상들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의도적이었을까?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던가? 이렇듯 저자는 그동안 흘리듯 보아왔던 예능, 드라마, 다큐, 애니 29편을 골라 돋보기를 들이대었다.

 

1장 여전히 화면 안에 살아남은 것들

2장 잘 살고 싶은 마음이 퍼져나갈 때

3장 나는 이걸 사랑이라 부르고 싶어

4장 남성 중심 문화를 거부하는 여자들

 

저자는 지난 7년간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AROUND>와 밀레니얼 주거문화 매거진 <디렉토리>에서 콘텐츠 에디터, 여성 생활 미디어 <Pinch>에서 대중문화비평 'TV언박싱'을 연재, 현재 <한겨레신문>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속 MZ 세대 여성들의 문화현상을 사회적으로 분석하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순차적으로 읽었지만, 모르는 영상에 대해서 읽으면서는 크게 공감되지 않았고, 자신이 보았던 영상부터 찾아보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꼭지의 글이 끝날 때마다 '다음의 물음표'라는 질문을 만날 수 있어 글을 읽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도 가져볼 수 있다. 단순히 흥미로만 생각했던 영상들에 의도치 않았거나, 어쩌면 의도했을 장치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던 <어제 그거 봤어?>는 영상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글이다. 사라져 버린 TV 속 여자들의 이야기, "진짜 변화는 이야기가 끝났을 때 비로소 시작된다" 지금 우리가 읽어야 할 이야기가 아닐까?

 

모든 가구를 한 곳에 둘 수 없는 현실적 제약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왜 책상이 없는지'보다, '왜 화장대가 책상보다 우위를 차지하는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연출의 세계에서 인물의 성격으로든 서사의 개연성으로든 있어야 할 게 사라졌으니 이유를 찾아야 했다. 담은 아주 명료하다. 화장대의 기능을 떠올려 보면, 여자라면 당연히 꾸미길 좋아할 거라는 믿음이나 혹은 그래야 한다는 통념이 서사적 논리를 뛰어넘어 TV 안에 살아남은 것이다. 인물의 배경과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여성의 특성'일 것이라고 뭉뚱그린 게으른 판단으로 말이다. 책상의 부재는 단순히 가구 한 점 모자란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학습, 사유, 성장, 발전, 상상 등 이토록 많은 단어가 책상에 담겨 있다. _021p. #시트콤하이킥시리즈

 

<짱구는 못 말려>시리즈에서 짱구와 절대적으로 더 긴 시간을 보내는 건 엄마 미선인데, 그 역사를 들여다보는 것은 아빠 형만뿐이라니, 게다가 미선은 왜 자신의 자아를 되찾는데 형만의 냄새를 빌려야 했던 걸까? 미선의 이야기가 완전히 배제되고 삭제되었다. (···) 애니메이션에서조차 조명해 주지 않는 주부의 삶을 보니, 우리 주변에 다음으로 미뤄지고 배제되고, 지워지는 여자들이 그제야 주마등처럼 스친다. _50~51p. #짱구는못말려

 

나는 어떨 땐 미성년자의 그늘을 못 벗어나다가 또 어떨 땐 어엿한 성인이 되어야 했다. 엄마의 구미에 맞추느라 혼란스러웠다. 시간이 지날수록 내 인생의 선택권은 내가 아닌 엄마 손에 있다는 것을 체감하면서 분노가 자랐다. 결정도 후회도 만족도 모두 내 것이 아니었다. _ 124p. #안녕드라큘라

 

#이자연 #에세이 #에세이추천 #상상출판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