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가의 도시 - 공간의 쓸모와 그 아름다움에 관하여
이규빈 지음 / 샘터사 / 2021년 6월
평점 :

#도서협찬 #건축가의이야기
건축가는 자기 집이 아니라 남이 사는 집을 설계하는 사람이다. 그게 개인 집이든 공동주택이든 혹은 사무실이나 박물관이든, 특정 혹은 불특정 개인이나 다수의 삶이 거주하는 공간을 설계하는 것을 직능으로 삼는다. (···) 진실은 늘 현장에 있다. 그래서 현장을 찾는 일, 즉 여행은 건축가에게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그 여행을 통해 수없이 깨우치며 스스로를 발견하게 된다. _6~7p.
원작은 카카오 브런치에 연재했던 '젊은 건축가의 출장기'다. 일본, 브라질, 프랑스, 이탈리아 총 4부작으로 연재한 글은 누적 조회 수 20만 회를 넘기며 분에 넘치는 사랑을 받았다. 단행본으로 재구성하며 이탈리아 편을 빼고 중국, 미국 편을 새로 썼다. 사진을 줄이는 대신 도면을 그려 넣어 읽는 이의 재미를 더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몸과 마음이 모두 억압당한 이 시대, 좁은 지면에서나마 자유롭게 건축과 도시를 거닐며 작은 위안 삼을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_11p.
도시를 설계하고 건축하는 건축가. 여행을 하며 인상적인 건축물을 기록하고 도시의 풍경을 바라보며 풀어낸 이야기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과 건축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드로잉에 관심이 많아 유튜브나 영상강의를 찾다 보면 건축가들의 영상을 꽤 찾아볼 수 있는데,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을 설계하고 짓는 이들의 그림이라 더 입체적이라고 할까? 일본, 중국, 미국, 브라질, 프랑스의 건축과 도시에 대한 이야기들은 저자의 설계도면과 사진, 글이 함께 어우러져 건축 여행 에세이를 읽는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건축과 도시에 대한 저자의 글도 좋았지만 사진과 함께 실린 설계도면은 시선이 머물게 된다. 스쳐가는 여행이 아닌 머무는 여행, 사람이 살아가는, 또는 공동체를 위해 지어진 건물들과 도심을 살아가는 우리의 오늘을 이야기하는 건축가의 이야기.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여행의 부재가 길어지며, 이러한 책과 글이 반가울 수밖에 없는 건, 책과 글로 나마 경험하고 싶은 이들이 많기 때문이 아닐까? 일과 여행의 경계를 넘나드는 젊은 건축가의 도시 이야기는 앞으로 저자의 다른 글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글이었다.
건축은 단단하고 도시는 거대하다. 그래서 우리는 종종 건축과 도시가 영원히 변치 않을 거라고 쉽게 착각한다. 인간의 일생이 건축과 도시의 시간보다 너무 없이 짧기 때문이다. 사람이 변하면 시대가 변하듯 건축과 도시 또한 늘 변화한다.
애플 스토어는 디테일에 대한 애플의 집념이 건축으로 발현된 사례이다. 전 세계 25개국 약 500여 곳에 들어선 매장들은 단순히 자사 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역할에 그치지 않는다. 다만 방문자로 하여금 애플이라는 일종의 '커뮤니티 공간'에 초대된 듯한 느낌을 받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사야 할 물건이 있어야만 찾아가는 다른 전자제품 매장과 달리 친구와 함께, 연인과 데이트로 혹은 아무 이유 없이도 그곳을 찾아 유유히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 방증이다. 사람들이 모이고, 머무르고, 교류하는 장소로서 애플 스토어는 현대 도시에서의 '광장'과도 같다. _36p.
#이규빈 #샘터 #물방울서평단 #인문 #건축 #도시건축 #건축에세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추천도서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