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팜
조앤 라모스 지음, 김희용 옮김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디스토피아

사회 질서와 치안이 붕괴된 사회를 그릴 때 여성의 위치를 어떻게 묘사하는지는 디스토피아 설정의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여성이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묘사는 대부분의 디스토피아 설정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지만, 그 과정과 결과를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보면 창작자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사유를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토피아 과정에서 인구가 급감했다는 설정이 들어갈 경우 거의 필연적으로 여성을 착취해 인구를 다시 늘리려는 시도를 묘사하게 되는데, 이 부분을 어떻게 설정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은 현실 세계의 여성이 인구 재생산 과정에서 어떤 대우를 받는지를 고민해 보는 중요한 힌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_naver


저자는 이야기한다. <베이비 팜>은 허구의 산물이지만, 많은 면에선 사실이기도 하다고... 필리핀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학창 시절을 거쳐 결혼을 하고 살아가며 자신이 아는 필리핀 사람들은 신생아 보모나 유모, 청소부, 가정부들 뿐이란 걸 알아차리게 된다. 자신 또한 한동안 필리핀 유모를 고용하게 되는데, 그녀들의 삶은 가족과 멀리 떨어져 살며 고국에 사는 가족을 위해 힘들게 번 돈을 보내고 또 보내는 삶을 산다. 소설 속 아테의 삶이 그러했고, 사촌인 제인 또한 어린 딸을 키우며 살아가야 할 길이 막막했던 차에 아테의 소개로 골든 오스크의 '대리모'를 소개받게 된다. 유명 대학을 졸업하고 갤러리에서 일하던 레이건은 아버지의 그늘을 피하기 위해 골든 오스크로 향하고 자신의 야망을 위해 대리모들을 위한 최고급 리조트인 골든 오스크의 관리와 확장을 꿈꾸는 메이. 각기 다른 욕망을 가진 네 여성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아테, 제인, 레이건, 메이 네 명의 여성이 삶의 다양한 계층, 인종, 사회가 엮어가며 이 내용들이 과연 현재에만 벌어지고 있는 일일까? '대리모'라는 여성의 몸을 상품화하려는 거대 비즈니스에 맞선 여성들의 투쟁은 페미니즘 디스토피아적인 이야기는 마거릿 애트우드의 <시녀 이야기>를 떠올리게 되기도 한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고 살아가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 진지한 경고를 알리는 글이다.


작가가 이 소설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인도를 비롯한 저개발국가의 대리모 산업 문제만 봐도 소설 속 상황이 가깝거나 먼 미래의 일이라기보다는 바로 지금 어딘가에서 벌어지고 있을 법한 일임을 짐작할 수 있다. _옮긴이의 말


"호스트가 되면 당신은 예술가로서 꿈을 이루는 동시에, 아이를 간절히 바라는 한 여성의 꿈도 이뤄줄 수 있어요. 쌍방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가장 좋은 상황인 셈이죠."

레이건이 얼굴을 찡그린다. "그렇지만 미적인 이유로 대리모를 쓰는 사람들도 있다고 얘기하신 적이 있잖아요. 저는 전 대리모를 통해서가 아니면 아기를 가질 수 없는 사람을 위해 임신하고 싶어요. 허영심 때문에 대리모를 이용하는 의뢰인에게는 관심 없어요." _91p.


"그거 대리출산이잖아! 그런 식의 대리출산은 상품화고, 인간 생명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이야! 신성한 모든 게 외부에 위탁되어 일괄적으로 거래되고, 결국 최고가 입찰자에게 팔려 나가는 거라고!" ... (중략)... "넌 어떤 낯선 부자가 널 이용하게 내버려 두고 있는 거야. 삶의 근원적인 무언가에 가격표를 붙이고 있는 거라고." _147p.


미국에서는 부자가 아니라면 튼튼하거나 젊어야만 한다는 것을 그녀는 이해하지 못한다. 늙고 병약한 사람들은 제인이 전에 일했던 곳 같은 시설에 숨겨져 있다. _230p.


제인은 아테의 선한 행동이 - 그것은 진짜로 선한 행동이다, 골든 오스크는 그녀의 삶과 세군디나의 삶을 바꿀 테니까 - 그녀가 돈을 번다는 이유로 더럽혀졌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그게 왜 더럽다는 것인가? 선한 행동이, 단지 아테가 이득을 본다는 이유만으로 덜 선한 행동이 되는 걸까? _314p.


"만약 다른 사람에게 임신을 맡길 수만 있다면, 여자들이 주도권을 쥐는 장본인이 될걸요." _324p.


#베이비팜 #조앤라모스 #김희용 #소설 #창비 #도서협찬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독서노트 #필사 #국산볼펜 #동아D3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