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쓸모 - 결국 우리에겐 심리학이 필요하다
이경민 지음 / 믹스커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 혹은 심리학 개론서를 더 심도 있게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입니다.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관련된 심리이론을 직접 적용해보고, 방대한 심리학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책입니다. 심리학이 누구에게나 오차 없이 적용되지는 않겠지만 꿈을 잃었던 지난날의 필자에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힘든 현재의 필자에게, 그리고 새로운 꿈을 이뤄가는 미래의 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_서문


얼마 전 이모 댁에서 키우던 오래된 반려견이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외동아들을 키워 장가를 보내고 두 분이 연립에 돌아다니던 개를 들여 키우기 시작하신지 근 이십여 년이 다 되었던, 가족과 같은 존재였는데... 주변에서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거라고 안부전화도 드리고 응원의 문자를 보내기도 했지만 괜찮아지시는듯하다가 다시 혼자만의 동굴에 들어가기를 반복하는 이모부를 지켜보다 지친 이모는 자신의 아픔은 이모부가 힘든 것에 비하면 댈 게 아니라고 이야기하실 정도였으니... 이모부에게 반려견의 죽음은 일상을 뒤흔들 정도로 큰 사건이었고 급기야 두 분이 운영하시던 매장을 접기로 결정하셨다고 한다.


제3자의 시선으로 봤을 때 그렇게까지,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슬픔일까?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한편, 어쩌면 오래 세월 정말 가족이었을 그 작은 동물에게 온 마음을 주었다면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마음의 안녕'을 묻게 되는 요즘이다. 일상의 크고 작은 감정 변화와 혼란을 견디며 살아가고 있지만, 때론 생각지도 못한 큰 충격에 마음을 놓아버리게 되는 그런 순간도 오게 되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나의 마음은 안녕한가?' '나는 나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었지만 어렵지 않은 설명에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이도, 조금 더 체계적인 정리를 해보고 싶은 이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우리가 '관계'를 다룰 때 어린 시절 양육자와 맺게 되는 첫 번째 관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러한 애착의 유형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사회성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영아기 초기에 형성한 애착은 아동기의 자율성 형성, 성인기의 사랑과 결혼 등 인간관계의 기초가 됩니다. _89~90p.


우리는 일상에서 흔히 낙관적인 자세를 강요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좋게 생각하자." "다 잘 될 거야." 등의 말을 자주 듣곤 하지요. 하지만 이런 경우 대부분은 우리가 생각한 대로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되지도 않습니다. 이렇게 희망과 다른 결과가 반복되어 실패를 경험할수록 무기력해지고, 더 이상 무언가를 꿈꾸지도 기대하지도 않게 됩니다. 희망 자체가 고문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낙관주의를 '낙관성의 배신'이라고 합니다. _137p.


'잘 사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그럼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행복을 묻는 질문에는 제각기 다른 답변을 내놓기 마련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의미의 행복(well-being)을 학술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행복을 '웰빙'으로 표기하거나, '안녕감'이라는 용어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_260p.


#심리학의쓸모 #이경민 #인문 #심리 #심리학 #도서협찬 #믹스커피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