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의 피아노 - 철학자 김진영의 애도 일기
김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10월
평점 :

내가 상상하지 않았던 삶이 내 앞에 있다.
나는 이것과 어떻게 만날 것인가. _067p.
9시쯤 겨우 정신을 차리고 부랴부랴 씻고, 출근 완료. 대충 아점을 먹고 점심 장사를 정리하고 오후 장사를 준비하다 보면 저녁 장사 시간 잠시 한가한 시간 저녁을 먹고 마감 준비를 하고 퇴근 완료하면 대략 저녁 10시쯤? 씻고 빨래 돌리고 방에 자리 잡고 앉으면 대략 늦은 11시쯤이 된다. 그 시간부터 새벽 3~4시까지 책도 읽고, 유튜브, 드라마도 보다가 누우면 기절할 정도가 될 때까지 버티다가 잠이 드는 패턴이 하루 일과가 된다.
저자 김진영의 첫 산문집이자 유고집이다. 임종 3일 전 섬망 오기 직전까지 병상에 앉아 메모장에 썼던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의 일기 234편의 글들을 추석 연휴 일하는 짬짬이 아껴 읽었다. 투병하면서도 글쓰기와 생각하기를 놓지 않았던 건 생생한 삶의 곁에 기대어 버티기 위한 저자의 노력이었을까? 탓함 없이, 이렇게 살았구나 무던하게 이야기하는 것 같으면서도 때론 쏟아내면서 비우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생의 마지막까지 기록하기를 놓지 않았던 저자의 삶을, 글자락을 늦게나마 읽을 수 있어 좋았다.
시간이 흘러 돌아본다면 내 삶은 무엇이라 이야기할 수 있을까? 하루하루를 '이 시간이 지나가기를' 그저 살아가고 있는 내 시간이 미안해지는 책이기도 했다. 그저 읽어내는 게 다였다. 책을 다 읽고도 며칠이나 뭐라 이야기해야 할까 열었다 덮기를 열 번도 더 했던 책이기도 했다. 그저 읽기를...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다. (아침의 피아노를 읽고 <이별의 푸가> <낯선 기억들>을 구입했다.)
마음이 무겁고 흔들릴 시간이 없다.
남겨진 사랑들이 너무 많이 쌓여 있다.
그걸 다 쓰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 _012p.
슬퍼할 필요도 이유도 없다.
슬픔은 이럴 때 쓰는 것이 아니다. _014p.
살아 있는 동안은 삶이다.
내게는 이 삶에 성실할 책무가 있다. _024p.
공간들 사이에 문지방이 있듯 시간들 사이에도 무소속의 시간, 시간의 분류법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잉여의 시간이 있다. 어제와 내일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아무런 목적도 계획된 쓰임도 없는 시간. 오로지 자체만을 위해서 남겨진 공백의 시간이 있다. 그때 우리는 그토록 오래 찾아 헤매던 생을 이 공백의 시간 안에서 발견하고 놀란다. 다가오는 입원일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판결을 기다리는 환자처럼. _055~056p.
때와 시간은 네가 알 바 아니다. 무엇이 기다리는지, 무엇이 다가오는지 아무도 모른다. 모든 것은 열려 있다. 그 열림 앞에서 네가 할 일은 단 하나, 사랑하는 일이다. _125p.
나는 나를 꼭 안아준다.
괜찮아, 괜찮아..... _145p.
글쓰기는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그건 타자를 위한 것이라고 나는 말했다. 병중의 기록들도 마찬가지다. 이 기록들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내가 떠나도 남겨질 이들을 위한 것이다. 나만을 지키려고 할 때 나는 나날이 약해진다. 타자를 지키려고 할 때 나는 나날이 확실해진다. _242p.
#아침의피아노 #김진영 #이별의푸가 #낯선기억들 #에세이 #에세이추천 #유고집 #한겨레출판 #내돈내산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