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사무실에 들어오셨습니다 - 밀레니얼이 어려운 X세대를 위한 코칭 수업
김현정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시기에나 세대 갈등이 있기 마련인데 왜 유독 Y 세대가 문제인가요?" _77p.

옛 직장동료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늘 듣는 이야기가 있었다. "요즘 애들은 정말 이해할 수가 없어." 예전 직장 생활을 했던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보면 정말 뜨악! 할 정도의 상황이 꽤 자주 벌어지곤 한다는데, 생각해서 챙겨주면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반응에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푸념들이 대부분이었던걸 생각해보면 '이런 책이 조금 일찍 출간되었더라면...'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밀레니얼세대가 어려운 X세대, Y 세대도 이해되지 않은 혼란스러움인 상황에 1996년 이후에 태어난 Z세대가 시회에 진출하고 있어 혼란이 예상된다. X세대의 자녀들이 회사에 입사하게 되는 상황인데 부족함 없이 자란 이 아이들은 사회생활을 하며 어떠한 현상을 나타낼까? 조직도 바뀌지 않으면 젊은 인력을 유지할 수가 없으며, 기업의 경쟁력은 젊은 인재를 얼마나 유치하고 유지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한다. 세대 간의 공생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조직에서 세대 간의 갈등으로 힘든 상황을 겪어본 이라면, 한 번쯤 일독해보길 추천하고 싶은 글이다.

밀레니얼이 어려운 X세대를 위한 코칭 수업

딴에는 챙겨줬는데 욕먹는 팀장들을 위한 긴급 처방전

밀레니얼은 조직에서 갈등이 생기면 오래 견디지 않는다. 이들은 '집단 대 개인'의 갈등에서 스스럼없이 개인을 선택한다. _9p.

X세대와 Y 세대가 경험한 대한민국은 너무나 다르다. 한마디로 말해서 X세대는 가난하게 태어나서 점점 부자가 되는 것을 경험하고, 자수성가를 한 세대다. Y 세대는 중산층 가정에 태어났는데 부침이 심하게 자라고 성인이 되어서는 아버지보다 못 사는 첫 세대가 되었다. 세계적으로도 Y 세대의 첫 번째 특성은 '가난'이다. 불과 10~20년 정도의 시간 차이지만 압축 성장을 해온 우리나라는 그 어느 나라보다 세대 간 빈부격차가 심하다. 이것이 현실이다. _47p.

Y 세대가 말하는 가족 같은 회사는 그림이 다르다. 이들이 생각하는 가족 같은 회사는 기본적으로 수평적인 조직이다. _57p.

김연아의 피겨스케이팅, 박태환의 수영, 이상화, 모태범의 스피드스케이팅. 딱 그때뿐이다. 박세리 키즈나 박찬호 키즈라는 말이 생긴 것처럼 한 명의 스타가 새로운 길을 내는 모습을 밀리니 얼에게서는 발견하기 어렵다. 밀레니얼 스포츠 스타들은 후배들에게 길을 내주거나 시스템을 만들지 않는다. 내가 잘되고 있으면, 후배들 불러서 밥도 사 먹이고 용돈도 주고 노하우도 전수하고 아는 에이전시에 한국 후배들을 소개하고... 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_89~90p.

어떤 세대든 아랫세대가 윗세대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윗세대라도 아랫세대가 무엇을 원하는지, 그래서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세세히 알기는 어렵다. 모든 것을 알고 이해해야만 행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것은 이해가 되지 않아도 먼저 행동으로 옮겨볼 것을 권한다. _143~144p.

#90년생이사무실에들어오셨습니다 #김현정 #자음과모음 #자기개발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X세대 #밀레니얼세대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