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썼다, 오늘의 공무원 - 오늘도 국가 뒤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는 공무원들에게
영지 지음 / 허밍버드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무원. 이 시대 수십만 명의 젊은이들에게 달콤한 미래를 꿈꾸게 하는 직업. 동시에 수많은 공시생들과 공무원들의 가슴에 상처를 내는 비정한 직업이기도 하다. ... (중략)... 이 책은 ‘공직 안에서 그리고 공직 바깥에서’ 자기만의 답을 찾는 누군가의 ‘나’로 가는 길을 찾는 데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나랑 공무원이 가야 할 길이 다른 어딘가가 아닌 바로 여기에서 찾았듯이._205~207p.

코로나19가 장기회 되면서, 이전보다 공무원들을 자주 뵙게 된다. 며칠 전 공무원이 포스터와 서류철을 들고 와 체크리스트라며, 매일 기록해서. 보관해두시고 2주 후에 와서 확인하겠다고 했다. 아무래도 오픈된 공간이고 매일 사람이 드나드는 공간이니 주의가 필요하겠지만, 매일 한 장씩? (체크리스트 내용 별거 없던데... 종이, 잉크가 아깝다.) 아깝다...라는 생각이 앞섰지만 이 더운 날 저걸 들고 일일이 많은 매장들을 찾아다니며 이야기하는 사람도 힘들겠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애썼다, 오늘의 공무원>을 읽으면서는 이런 일을 만들어 낸 사람들은 누굴까?라는 생각도 더불어 해보게 된다.

“공무원은 왜 편한 직업이라고 생각할까”

관공서에 일처리를 하러 가면 괜히 주눅부터 들었다. 혼나러 가는 사람처럼, 책잡히면 안될 것처럼, 그들이 갑이고, 난 을이라고 생각했다. 국민을 도와주러 있는 자리라는 느낌을 크게 받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공무원, 이 책을 읽기 전 남들이 대충 아는 만큼만 생각했다. ‘철밥통’ 정년퇴직하면 연금도 꼬박꼬박 나오고, 스트레스 받을 일이 뭐 있겠어?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런 그들도 여느 직장인들처럼, 어쩌면 그보다 더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됐다. '공직'이라는 자리가 '업무와 개인의 일상'에 대해 더 많은 생각을 하게 하지 않았을까? 그들도 국가의 뒤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을 뿐, 그들이 쉽게 바꿀 수 없는 조직문화, 공무원이라는 조직 안에서 어쩌면 더 힘들고 외로웠을 그들의 묵묵함을, 그리고 변화되어가고 있음을 이야기하는 글이었던 것 같다.

바깥세상은 하루하루 정신없이 변하고 있는데, 공무원의 회의장 풍경은 10년 전 그때와 변함이 없다. 실무자의 신선하고 톡톡 튀는 아이디어는 회의장 어디에도 설자리가 없다.

‘미리 보고 하지 않았고, 검증되지 않았고, 확인받지 않은’ 새로운 사업이나 아이디어는 공무원 조직에서는 위험한 것이다. _036p.

민간에서의 짧지 않은 경력을 공직에 들어오면서 나는 전부 포기했다. 솔직히 민간이든 공공이든 근무한 경력에 비해 버는 것도 대우도 직책도 모두 그저 그렇다. 그런 내게 남은 건 공직이 주는 가치, 그거 하나뿐이다. 그렇게 나는 버티고 있다. _044p.

#애썼다오늘의공무원 #영지 #허밍버드 #에세이 #공감에세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