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야기의 탄생 - 뇌과학으로 풀어내는 매혹적인 스토리의 원칙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5월
평점 :

현실에서 우리가 만나는 예기치 못한 변화는 대부분 전혀 중요하지 않은 일이다. 탕 소리는 그저 화물차 문이 닫히는 소리고, 밖에서 들려오는 소리는 내 이름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엄마가 자기 아이를 부르는 소리일 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멈췄던 몽상에 다시 빠져들고 세계는 다시 움직임과 소음으로 뒤섞인다. 그래도 변화가 중요한 순간들이 있다. 그럴 때 우리는 행동한다. 그리고 그 순간에 이야기가 시작된다. _36p.
매혹적이고 강렬한 이야기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다양하고 매력적인 스토리들, 우리는 취향에 맞는 이야기를 찾아 두리번 거린다. 책,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소재를 넘나들며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는 어디에서 시작되는지, 이야기의 과학과 인간의 본성을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의 놀라운 이야기는 기자이자 소설가인 윌 스토의 관심으로 지속적인 조사와 뇌 과학 기반의 글쓰기에 대해 연구해왔다고 한다. 고전 명작, 현대 소설, TV, 영화, 드라마 작품들을 분석하며 생생한 인물과 매력적인 이야기가 어떻게 탄생하는지, 뇌가 우리의 생각과 현실을 구축, 왜곡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는 과정을 실제 작품들을 예로 들어 디테일하게 설명하고 있다.
뇌과학자 정재승, 소설가 김초엽, <스토브리그>의 작가 이신화등 매력적인 글을 쓰는 저자들도 강력히 추천하는 <이야기의 탄생>은 뇌과학과 심리학을 근거로 다양한 사례로 이야기하는 작품의 깊이 있는 파고들기는 '내가 알고 있는 그 작품 맞아?' '이런 의도였어?' 등 새로운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어떤 이야기에 본능적으로 호감을 느끼는지를 생각해보는 재미도 있다.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작품들과 인용구들을 읽어보는 재미도 쏠쏠한 <이야기의 탄생> 글쓰기를 하는 창작자들에게도 유익하겠지만 '어떻게 읽어야 할까?'를 생각하는 독자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야기로 사람들을 위로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싶은 모든 이들이 늘 곁에 두고 참고해야 할 유익한 지침서다. _정재승
우리는 하루하루의 삶을 이야기로 경험한다. 뇌는 우리가 사는 세계를 구축하고 그 세계에 둥지와 악당을 채워 넣는다. 뇌는 혼란스럽고 암울한 현실을 단순하고 희망적인 이야기로 바꾸고 그 중심에 주인공(근사하고 소중한 나)을 위치시킨다. 이때 주인공은 일련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이것이 삶의 플롯이 된다. _15p.
나는 이 책이 스토리텔링에는 관심이 없어도 인간 조건의 과학에는 호기심을 느끼는 모든 사람의 관심을 끌기를 바란다. 물론 특히 작가들의 관심을 원한다. 누구나 다른 사람의 뇌를 사로잡아 관심을 유지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나는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조금이라도 이해하면 모두가 저마다 일을 더 잘 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_17p.
인간은 타인의 마음을 읽고 이해하는 데 비범한 재능을 타고났다. 인간으로 구성된 환경을 통제하려면 그들이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 행동은 중요하고 복잡하다는 점에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져야 한다. 작가들은 이런 기제와 호기심을 활용하는데, 작가들의 이야기는 한 인물의 행동 뒤에 숨겨진 흥미진진한 이유를 깊이 파고드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_55p.
좋은 이야기는 인간 조건을 탐구한다. 극의 표면에서 벌어지는 사건보다 인물에 더 집중한다. 낯선 마음으로 떠나게 되는 흥미진진한 여행이다. 첫 페이지에 등장하는 인물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우리가 그 인물에게 호기심을 느끼고 극적인 싸움을 제공하는 이유가 그가 성공하고 매력적인 미소를 가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가 가진 결함 때문이다. _84p.
인간은 이야기를 만들도록 태어났다. 힘들지만 의미 있는 목표를 추구하면서 번창한다. _238p.
#이야기의탄생 #윌스토 #문희경 #인문 #글쓰기 #흐름출판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