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도는 땅
김숨 지음 / 은행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37년에 일어난 비극을 강제 이주 열차 한 칸에 내몰린 몇몇 가족을 통해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사람들이 열차에 강제로 태워진 페르바야-레치카 역이 화물열차 역이었다는 사실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현재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고려인의 150년 역사를 응축하고 있다. 비극은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반복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디아스포라 민족인 고려인이 겪은 비극을 잊지 않게 하는 비망록이다. _ 윤상원(전북대 교수, 고려인연구센터 소장)

1937년 극동 연해주에 정착해 살고 있던 고려인 17만 명이 스탈린의 강제 이주 명령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하게 된 사건을 기반으로 쓰인 「떠도는 땅」. 살기 위해 고국을 떠나 정착한 땅이었건만 강제로 화물열차에 실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몇 십 일을 달리는 열차, 한 칸에 함께 실린 채 이동 중인 몇몇 가족들의 대화는 이야기하는 사람 사이 불쑥 등장하는 주인 없는 목소리의 주인을 찾기 위해 다시 집중해보기도 하지만 이내 그들의 상황에 빠져들게 된다.

고국을 떠나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연해주에 터를 잡은 이들, 하지만 조선인도 러시아인도 아닌 이들의 삶은 몸과 말은 러시아인처럼 살고자 하지만 자신들의 정체성만은 잃지 않기 위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인지하며 살아가려고 한다. 끝도 없이 달리는 열차, 환기도 제대로 되지 않아 악취는 점점 심해지고, 먹을 것도 마실 물도, 배설물 처리도 점점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열차 안의 이들은 끊임없이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자신들이 누구인지 잊히지 않기 위해서인 듯... 며느리에게 자신이 죽더라도 자신의 저고리와 치마는 꼭 챙기라던 소덕, 작은 씨앗들을 종류별로 광목천에 담아 주렁주렁 덧대 입어 새로운 땅에서의 시작을 준비하고 싶었던 것일까? 김숨 작가를 통해 재현된 1937년 강제 이주에 대한 생생한 재현은 긴 호흡을 요하지만, 당시 그들의 생생한 불안이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 '김숨표 대화체'는 언제쯤 적응될까..) 사실 얼핏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이 알지는 못했던 '고려인 강제 이주'에 대한 사건을 인지하게 했던 글이다. 우리가 잊으면 안 되는 정확히 아야 할 아픈 역사들이 참으로 많다.



“존재가 뿌리 뽑히고 삶이 왜곡돼 일생을 떠돌며 살았던 카레이스키들의 이야기”

“소설 속 모든 내용은 제게 던지는 질문이자 저와의 대화였어요. 모든 사람이 한곳에 정착해 있는 것 같지만 사실 모두 어디선가 와서 어디로 흘러가고 있죠. 소설처럼 극단적인 상황은 아니지만 우리도 커다란 세계 속 이주 열차에 타고 주어진 운명대로 살아가는 난민 같은 존재가 아닐까 싶습니다.” _김숨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3&aid=0003463714





"내 아버지 무덤은 라즈돌리노예 역 옆에, 내 어머니 무덤은 중국 훈춘에, 내 할머니 무덤은 함경북도 나진 고향땅에, 내 할아버지 무덤은 포시에트에, 내 마누라 무덤은 블라디보스토크 공동묘지에 있답니다."

"경기도 의정부가 고향인 내 첫 마누라 무덤은 재피거우에 있지요. 의정부에서 태어난 사람이 죽어 재피거우에 묻힐지 누가 알았겠어요." _71p.


"솔직히 난 내가 누군지 모르겠어. 조선인, 러시아인, 소비에트인민...."

"그 셋 다 아닌가요? 당신은 조선인이지만 러시아에서 태어났어요. 러시아는 소비에트가 되었고요."

"그 셋 다일 수는 없어." _100~101p.


"나는 3대째 러시아에 살고 있어요. 몇 대까지 뿌리를 내리고 살아야 낯선 사람이 아닐까요?"

"황색인 우리의 피부색이 우유처럼 희어지지 않는 한 영원히 낯선 사람 들일걸요." _187p.

#떠도는땅 #김숨 #은행나무 #은행나무출판사 #AXT #디아스포라 #러시아 #연해주 #조선인 #고려인 #이주 #시베리아횡단열차

#장편소설 #소설 #문학 #한국문학 #책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