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서 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 - 웨이보 인싸 @하오선생의 마음치유 트윗 32
안정병원 하오선생 지음, 김소희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심리학에 관한 에세이를 읽을 때면 조금은 마음을 가다듬고 읽었는데, 하오 선생의 글을 읽으며 조금 신선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정말 에세이처럼 가볍고 편안하게 읽었기 때문일까? 하오 선생이 이야기하는 32편의 에피소드는 병원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본인의 일상, 주변의 이야기를 두루 살피고 있어 의사가 아닌 우리와 같은 삶을 살아가는 어른의 이야기를 읽는 것 같다. 중국의 대표 SNS 웨이보의 과학기술 분야의 인기 블로거인 하오 선생은 정신과 의사이자 광장 춤에도 조예가 깊다. 종종 자신의 sns에서 '대머리'라고 자신을 비유한 덕에 네티즌에게 '외 할아버지'라는 호칭을 얻기도 했다고 한다. (글에서도 종종 '대머리'가 등장..ㅋㅋ)
이 책은 안정 병원에서 10년간의 경험을 5년간 정리하여 3년에 걸쳐 글로 출간한 첫 번째 책이라고 한다.
우리는 모두 크고 작은 정신 질환을 안고 살아간다.
유독 범죄와 관련해 '정신과 질환'으로 연결이 잦은 요즘, 정신병이 전염병이라도 되는 것처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은데, 마음의 감기라고 말은 하지만 감기가 걸려서 병원을 찾는 것처럼 정신과를 방문하기란 이런 선입견들 때문에 쉽지 않았다. 조기 발견,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알고는 있지만 본인이 자신의 상태를 인지하고 병원을 방문하기란 용기! 가 필요한 일이기도....
불안, 초조, 강박, 공황장애, 병적 도박증, 안면인식장애 등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아픔을 심각하게 접근하지 않고 소통하듯 대화를 유도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충분히 공감하며 때론 뛰어난 개그 드립으로 심각한 상황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도 하지만 직선적인 대답도 서슴치 않는 하오 선생이기도 하다. 이런 정신과 의사선생님이 있을까? 있다면 편하게 병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재치있고 위트있게 이야기하는 에피소드들은 정신질환, 바른 인식을 위해서라도 일독해보면 좋을 책이다.
사실 정신 질환은 두려운 것이 아닙니다. 감기에 걸리거나 열이 나는 것처럼 우리 몸이 아픈 것일 뿐이죠. 우리가 정신질환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면, 정신 질환 환자들을 좀 더 바르게 대할 수 있을 것이고, 그들이 자신의 병을 마주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겁니다. 동시에 여러분은 곧 알게 되실 거예요. 정신 질환 환자들에게도 귀여운 구석이 참으로 많다는 것을. ... (중략)...
'아는 것'이 치료의 기초이자 시작입니다. 우리 모두가 손을 잡고 함께 나아갈 수 있게 하는 동력이 됩니다. _9p.
"행복하세요?"
그녀가 왜 그 질문을 던지는가에 대해서는 아는 사람이 없지만, 어차피 사람은 모두 한 권의 책과 같은 것이 아닐까. 읽어도 이해 안 되는 사람이 있고, 계속 읽어볼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사람도 있는 것이다. _15p.
나는 매일 펑위와 같은 환자들을 만나왔다. 그들은 저마다 현실에 대한 괴로움으로 심리적 억압과 우울, 절망을 겪고 있으며 자신을 믿지 못하고 타인을 받아들이지 못해 어두운 구석에 혼자 고립되어 있곤 했다. 이런 '영혼의 감기'는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걷잡을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죽고 싶을 만큼 힘들어하고 심지어는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기도 한다. _162p.
이건 마치 감기에 걸리면 재채기가 나오는 것처럼 병으로 인한 것일 뿐, 우리가 정상적인 상황에서 이해하고 있는 '자살'과는 다르다. 또한 환자들의 병적인 정서, 행위에 대한 무시와 오해는 병세를 더욱 악화시킨다. 우울증 환자에게 가장 잔인한 행동은, 죽은 환자를 향해 무책임하다고 손가락질하는 게 아니라 환자가 살아 있는 동안 그의 고통을 무시하는 행위인 것이다. _ 171p.
#어서와이런정신과의사는처음이지
#하오선생 #안정병원하오선생 #김소희 옮김
#작가정신
#에세이 #심리에세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