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가해자들에게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그들과의 인터뷰
씨리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0월
평점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이들과의 인터뷰, 유튜브 #왕따였던어른들 의 무삭제판으로 출간된 #나의가해자들에게 는 평범한 학창생활을 보낼 수 없었던 '피해자'들의 인터뷰 대담집이다. 나의 학창시절은 어땠는지를 떠올려보게 되기도 했다. 그때도 따돌림, 왕따, 일진 이런 게 있었던가? 생각해보면 고등학교에 진학해서야 일진이 있고 무서운 언니들, 학교 간의 폭력사태 등등이 있다는 걸 알았지만 한 반에서 무리 지어 특정한 사람을 괴롭히는 일은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물론 무리를 지어 다니는 끼리끼리는 있었지만, 나의 학창시절이 평화로웠던 걸까?
"세상에 착한 일진이 어디 있어요?
일진이면 일진이고, 좋은 애면 좋은 애지."
어쩌면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등으로 미화된 일진의 이미지가 환상을 키우게 된 게 아닐까? 장난삼아 시작했는데 장난이 아니게 되어버린 학교 폭력. 아이들의 생활은 학교, 학원 등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무리에서 배척되는 아이들은 의지할 곳도 이야기할 곳도 없어지게 되는 게 아닌가 싶다. 학교 폭력으로 힘들어하는, 어디에도 도움을 청할 수도 받을 수도 없다는 생각에 자살까지 생각했던 어른이 된 피해자들의 이야기는 '학교'라는 곳에서 피할 수 없이 매일같이 마주쳐야 하는 아이들의 집요하고도 무서우며 잔인하기까지 할 수도 있다는데 놀랍기 그지없었다. 성장기의 소녀, 소년.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갈 시기의 학생으로서 자질을 펼쳐보기도 전에 폭력을 맞닥트린 아이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피해자들의 이야기중에 등장하는 선생님들중 좋으신 분들도 많았지만, 오히려 아이들을 폭력으로 내모는 계기가 되었던 선생님, 아이를 학교 밖으로 밀어버린 선생님을 보며 경악하기도 했다. 학교폭력은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닌 교직원과 학부모 모두가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할 긴 과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피해자로 힘겨운 시간을 살아 어른이 된 이들이 하는 이야기들은 과거의 일이 아닌 진행형이지만, 이러한 문화가 모두의 관심과 배려로 사라졌으면 하는 마음에 모든 이들이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왕따가 되면 진짜 무서운 게, 내가 나를 놓아 버리는 게 다 합리화가 되는 거예요. _44p.
저는 중학교 때 방관자가 되어 버렸어요. 그때 남자애들이 어떤 친구를 굉장히 심하게 괴롭히는 걸 봤어요. 어른들이나 선생님한테 말해야 한다는 걸 아는데도 먼저 말 꺼내는 게 되게 무서웠어요. 내가 아는 세계는 이 학교뿐인데, 그 아이가 겪고 있는 걸 나도 똑같이 겪을까 봐. 그게 너무 두려워서 나서질 못했어요. _54~55p.
진짜 버텨 줘서 고맙다는 말, 항상 너무 듣고 싶었던 말이라서 그 말 꼭 해주고 싶어요. 버텨 줘서 고맙고, 사실은 막 버티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괜찮고, 힘들 때 좀 울면 어떻고 웃길 때 웃으면 어떻고, 남들이 뭐라고 하는 게 어때요. 그 사람들 다 지나갈 사람들인데. 진짜 그냥,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굉장히 고통스럽지만, 그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그 사람들은 정말 아무것도 아니니까. 모르는 사람이 되어 있을 수도 있는 거니까. _96p.
말 한마디. "네 잘못이 아니야"라는 단 한마디. _103p.
방관자. 오히려 가해자에 더 가깝고, 심지어 가해자보다 더 미웠어요. 자기들은 "나는 모르는 일이야" 또는 "가해를 하지 않았으니까 나쁜 사람이 아니야"라는 식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거거든요. 더 밉죠. _175~176p.
지금 그런 고통을 당하는 친구들에게 "너는 이렇게 해라"라고 말할 수가 없어요. 요셉 씨가 했던 말이 맞는 것 같아요. 뭔가 생각을 하나 가졌으면 좋겠어요. 복수든 자기 자신을 갖다가 막 펼치든. 도망가고 싶으면 도망가도 돼요. 학교 안 다닌다고 안 죽어요. 이 친구들이 이 세상의 전부는 아니거든요. 도망간다고 해서 도망가는 게 아니거든요. 내가 나를 제일 먼저 생각하면 돼요. 나만 살면 돼요. 다른 사람이 그런 일을 당하고 있을 때 나 또한 외면하지 않으면 좋겠지만, 지금 당장 내 코가 석 자인데 누구를 돕겠어요. 도망치는 게 아니에요. 피할 수 있으면 피했으면 좋겠어요. 꼭 맞서 싸워서 이기지 못한 다고 문제 있는 사람이거나 약한 사람은 아니니까요. 그냥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일 뿐이죠. _220p.
어떤 이유가 있든지 간에 폭력을 정당화해선 안 돼요. 절대로. 그리고 내 편 없이 힘들 때 그래도 믿어요. 자신을. 이렇게 같이 싸워 주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러니 혼자 있지 마요. 내가 겪은 아픔들을 조금이나마 겪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꼭 우리가 아니어도 괜찮으니 누군가에게 말해 줘요. 숨 막힌다고 괴롭고 힘들다고 살려 달라고. 같이 있어 줄게요. 포기하지 마요. 그리고 미안해요.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주지 못해서요. 더 노력할게요. 힘내요. 우리. _259p.
#나의가해자들에게
#씨리얼
#에세이
#알에이치코리아 #RHK
#왕따 #학교폭력
#왕따였던어른들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